▲ 대전시 도시재생전략계획(안)에 담긴 도시재생 4개 권역 및 20개 활성화지역들. 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원도심 등 낙후된 도심지역 재생을 위해 오는 2025년까지 국비 포함 2조 2000억여 원을 투입하는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시는 쇠퇴지역으로 선정된 51개 동(행정동)을 4개 권역 20개 지역으로 나눠 도시전략계획을 수립, ‘시민이 행복한 과학·문화융합의 창조도시’를 목표로 도시 재생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23일 옛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2025 대전시 도시재생전략계획(안)’ 공청회를 가졌다.

도시재생전략계획은 지난 2013년 12월 5일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에 따라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과 연계한 체계적인 전략계획 수립을 위해 마련됐다.

계획안에 따르면 지난해 대전 인구는 1980년 대비 137% 늘었지만 원도심은 같은 기간 55% 감소했고, 노후주택비율도 원도심은 지난 2010년 기준 52.1%에 달하는 등 균형발전 도모와 삶의 질을 중시한 사람 위주의 도시재생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인구감소, 산업쇠퇴, 주거환경악화 등 3개 지표 중 2개 이상 만족하는 쇠퇴지역을 선정한 결과 전체 77개 행정동 중 51개 동(66.2%)이 이에 해당됐다.

이들 지역에 대한 시의 도시재생 정책 의지는 높으나 실행력을 담보할 수 있는 수단이 미흡하고 종합적인 도시재생을 위해선 물리적 사업에서 벗어나 사회문화 및 산업경제 등 소프트웨어 측면 강화가 필요하다고 분석됐다. 특히 쇠퇴지역은 도시 정체성 및 공동체 관련 역사문화 자산이 풍부, 도시재생 자산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전통시장 및 축제를 적극 활용한 근린생활권 재생 중심이 요구된다.

이를 토대로 ▲산업단지재생권역 ▲원도심재생권역 ▲계백로재생권역 ▲특별지역 등 4개 재생권역으로 나눠 20개 지역을 활성화지역으로 선정했다. 세부적으로 산업단지재생권역에는 ▲신탄진지역(중심시가지형) ▲회덕지역(근린재생형) ▲대전산단(도시경제기반형) ▲오정지역(근린재생형) ▲중리지역(〃)이 선정됐다.

원도심재생권역에는 ▲성남지역(근린재생형) ▲원도심지역 (도시경제기반형) ▲가양·자양지역(근린재생형) ▲대동지역(〃) ▲판암·용운지역(〃) ▲중촌지역(〃) ▲부사·석교지역(〃) ▲대사지역(〃)이 포함됐다. 계백로재생권에는 ▲유천·문화지역(중심시가지형) ▲오류·태평지역(근린재생형) ▲도마·변동지역(〃) ▲용문·괴정지역(〃) ▲가수원·정림지역(〃) ▲기성지역(〃)이, 특별지역에는 유성시장지역(근린재생형)이 담겼다.

산업단지재생권역은 산업경제분야에서 쇠퇴비중이 높아 대전산단 재생 및 신탄진역 활성화를 기본 방향으로 이와 연계한 재생사업들이 추진된다. 쇠퇴수준이 높은 원도심재생권역은 대전역, 옛 충남도청, 도시철도, 전통시장 등을 기반으로, 도안신도시로 인한 인구감소와 생활환경이 열악한 계백로재생권역은 배후인구 확보와 전통시장 등 상권재생 잠재력 극대화를, 유성시장지역은 유성복합터미널(광역교통) 및 관광특구를 연계한 거점기능 및 근린상권 재생에 초점을 맞춰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재정문제 극복 방안과 도시철도 2호선 연계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시는 오는 11월 시의회 의견 청취와 관련 부서 협의, 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12월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도시재생전략계획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고 활성화지역은 행정절차 이행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다”라며 “공청회에서 제안된 의견은 전략계획안에 담고 향후 자치구 및 활성화지역 현장의 목소리를 포함해 2025년 행복한 대전의 도시재생을 구현해 나갈 것”이라고 자신했다.
 
김형중 기자 kimhj@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