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민 52만명 서명서 국회·여야대표에게 전달

국회의원 선거구 증설 대전 범시민협의회는 5일 유성구 선거구 분리 증설을 촉구하는 시민 서명서 및 청원문을 국회(정개특위)와 여·야 대표에게 전달하기 앞서 대전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당위성을 설명하고 있다.연합뉴스

선거구 증설을 둘러싼 정치권의 샅바싸움이 복잡다단한 함수관계 속에서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대전 시민 52만 명의 서명이 담긴 ‘대전 선거구 증설 촉구 시민 서명서’가 국회 정치 개혁 특별 위원회와 여·야 대표에게 전달됐다. 표의 등가성 등에 기대 오랜 기간 선거구 증설을 열망해 왔던 시민들의 의지가 타전된 순간이다.

국회의원 선거구 증설 범시민 협의회는 5일 대전시청 브리핑 룸에서 기자 회견을 열고 선거구 증설을 촉구하는 시민 52만명의 서명서와 청원문을 이날 오후 국회 정개특위와 여·야 대표에게 전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유성구의 국회의원 선거구는 반드시 분리 증설돼야 한다”면서 “153만 시민은 대전이 대한민국 행정과학의 중심도시로서 자부심을 가져왔지만 지역의 정치적 위상과 대표성의 기본이 되는 국회의원 정수는 인구대비 타 시보다 적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아 왔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는 그간의 선거구 획정이 기준과 원칙에 따르기 보다는 지역이기주의와 당리당략에 의해 추진됐기 때문”이라며 “이로 인해 대전시민의 주권은 심각히 훼손됐고 각종 현안사업의 추진에 많은 제약과 한계를 경험해야 했다”고 일침했다.

합리적 기준 및 일정에 따른 선거구 획정과 당리당략 없이 공정하고 객관적인 획정을 촉구한 협의회는 유성구의 분리 증설을 거듭 강조했다. 이들은 이날 오후 국회 및 여야 대표의원(김무성 대표 및 문재인 대표)실을 방문해 선거구 증설 여론이 담긴 시민 서명서를 전달했다.

지역 정치권도 이날 논평을 통해 선거구 증설에 힘을 보탰다.

새정치연합 대전시당은 이날 논평에서 “선거구 증설은 단순히 국회의원 1명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헌법에 명시된 평등권을 회복하고 대전발전의 초석을 쌓아 올리는 중차대한 일”이라며 “20대 국회의원 총선거 선거구 획정을 앞두고 대전지역 민·관·정이 혼연일체가 돼 주장한 것은 대전권에 대한 배려와 특혜가 아니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근거한 법과 원칙의 준수”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번 선거구 획정에 있어서 만큼은 당리당략, 정치적 이해관계, 타협적 꼼수와 결별해야 한다”며 “헌법재판소의 판결에 기초한 원칙적 선거구 획정만이 위헌논쟁을 차단하고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길”이라고 역설했다.

서지원 기자 jiwon401@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