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정부 신사업정책 영향 수출 급감…한은 "교통·물류 인프라 개선 시급"
중국 정부의 뉴노멀 경제정책이 충남 석유화학산업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원료 다변화 등을 위한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시급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17일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가 발표한 ‘뉴노멀 시대 중국의 신산업정책이 충남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경제성장 패러다임의 변화와 중국 정부의 신산업정책 영향으로 중국 수출의존도가 큰 충남지역 석유화학산업 수출이 급감하고 있다. 중국경제는 개혁개방 이후 30여 년간 고속성장을 이뤄냈지만 최근 몇 년간 성장속도가 둔화되며 뉴노멀 시대로 진입했다. 중국 정부는 과도한 경기부양을 지양하고 내실을 통한 성장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추진했다. 수출보다는 내수 위주의 성장, 2차 산업보단 3차 산업에 더 의존한 생존전략을 추진, 질적인 성장을 꾀한다는 게 핵심이다. 택배와 물류, 운송업, 전자상거래 등의 지원을 통해 민간소비를 촉진하겠다는 것이다.
최근 중국경제의 성장률 둔화가 예상보다 상회하면서 중국 정부의 정책기조가 지속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다. 동북 3성 지역의 경기둔화가 확연하고 기간산업의 공급과잉과 수요부진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제조업 가동률이 50%대로 하락하고 리커창지수 증가율은 2%대이며 해관총서(관세당국)가 공개한 올 1∼8월 중국의 총 교역액은 1년 전보다 7.7% 감소했다. 이에 다라 리커창 총리는 IT기술이 융합된 제조업 설비 확충을 통해 중국 제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인터넷 +’와 2025년까지 제조대국을 넘어서 제조강국으로 도약시킨다는 ‘제조업 2025’정책 목표를 제시하기도 했다.
그 결과 중국은 석유화학산업의 원유 정제시설 확충과 석탄화학 설비 증대로 기초유분의 생산능력이 크게 확대돼 자급률이 크게 올랐다. 이는 충남지역 석유화학산업의 대중국 수출에 악영향을 미쳤다. 경쟁력을 상실해 앞으로 성장이 어려운 충남 석유화학산업의 한계기업 수가 2013년 4개에서 지난해 7개로 빠르게 증가했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는 충남 석유화학산업은 점진적인 공정혁신이 중요하고 가격경쟁력이 경쟁우위의 원천이기 때문에 설비합리화 등 효율성 제고에 노력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충남 서산 대산단지엔 전국에서 유일하게 콘덴세이트 가공설비가 있으며 이를 통한 가격경쟁력 높이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교통·물류 인프라 개선의 필요성도 제안했다. 대산단지는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되지 않은 개별기업 산업단지로 정부의 인프라 지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판단해서다. 김경근 한은 대전충남본부 경제조사팀 과장은 “충남 석유산업의 고도화를 위해 최종제품 생산업체 유치와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며 “충남은 전기전자와 자동차 부품 등 산업이 발달해 있어 석유화학산업과 연계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경기변화에 대한 리스크 관리 방안으로 수요처를 다변화시키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방원기 기자 bang@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