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금강비전 실현 43개 전략 제시
생태복원·문화교류 활성화 등 수행

지난 2013년 충남도가 공식 선포한 ‘금강비전’의 실행을 뒷받침할 구체적 사업들이 실체를 드러냈다.

도는 7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금강비전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하고 지난 2013년 12월부터 충남연구원이 수행한 용역 최종보고서를 통해 금강비전 5대 목표 실현을 위한 43개 전략, 124개 세부 사업(총 사업비 8710억 원)을 제시했다.

이번 전략 및 사업 도출을 위해 도는 연구용역 과정에서 주민협의회와 실무조정단을 구성하고, 자문회의 및 금강비전기획위원회 회의, 시·군별 주민설명회, 설문조사 등을 실시했다.

도는 이번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금강의 가치를 끌어올릴 중장기 실천 계획을 세부적으로 마련, 금강유역 종합관리 및 보전·개발 등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홍수와 가뭄 걱정이 없는 안전한 금강’

물 순환체계 구축, 빗물 활용 확대 등 4개 전략은 이수 부문, 홍수 위험지도 구축, 금강하굿둑·금강보 재평가 및 운영체계 개선 등 4개 전략은 치수 부문에 담겼다.

세부 사업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물 공급 시스템 구축, 물 재이용 관리 기본계획 수립, 금강 3개 보 최적 관리 방안 도입, 하굿둑 구조개선 및 생태통로 하천 조성 방안 연구 등 25건으로, 필요 사업비는 399억 5000만 원 규모이다.

▲ ‘참게와 종어가 돌아오는 건강한 금강’

물 관리 부문에서 하구 중심의 순응형 통합유역관리, 지역 특성을 반영한 생태하천 복원, 금강보와 연계한 금강하구 생태복원이 제시됐고, 생태 부문에서 조류 서식지 조성, 멸종위기 어류 서식지 복원, 금강 에코뮤지엄 조성 등 모두 10개 전략이 제출됐다.

이를 위한 사업으로 핵심관리지역 오염 개선, 수변지역 보전, 복원, 이용사업, 하굿둑 배수갑문 증설 및 어도 확장 사업, 해수유통을 통한 기수역 조성, 논을 활용한 사계절 습지 조성 등 30건 2555억 2000만 원을 내놨다.

▲‘문화의 중심에 서 있는 창조의 금강’

생활문화 부문은 문화자원 창조적 융합 콘텐츠 개발과 활성화 등 2개 전략과 주민 참여를 통한 에코뮤지엄 조성 및 운영, 금강유역 시·군 간 문화교류 활성화 등 6개 사업으로 20개 세부 사업의 사업비는 1050억 원이 제시됐다.

▲‘주민이 행복한 역동하는 금강’

금강권 체험마을 네트워크 상품 개발 등 3개 전략은 관광 부문, 지천 100리 지역 브랜드화 추진 등 4개 전략은 농업농촌 부문, 장항 브라운필드 재이용 등 3개 전략은 지역개발 부문에 각각 들어갔다.

세부 사업은 음식 및 관광 특산물 판매단지 조성, 스포츠 및 수변레저스포츠 지구 조성, 금강 모빌리티(Mobility) 시스템 구축, 산림치유마을 조성 등 30건 4604억 9800만 원이다.

▲‘유역 지자체와 주민들이 함께하는 금강’

상생 거버넌스 체계 구축과 관련 지원조례 제정 등 9개 전략, 시·군별 모니터링단 구성·운영과 전략적 대외협력체계 구축 등 19개 사업 100억 4000만 원이 담겼다.

내포=김도운 기자 8205@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