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종합계획 수립
2020년까지 2000억 원 투자
수소관련 첨단산업 육성키로
대전시가 신재생에너지 기반 확충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공급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수소에너지 인프라 구축과 유휴부지 태양광발전 확대 등 10대 역점 사업을 선정, 중점 추진해 나간다는 게 시의 전략이다.
신재생에너지란 기존 화석연료를 변환해 이용하거나 태양, 물, 생물 유기체 등을 포함, 재생이 가능하게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로 중요정책 과제인 시장 선점을 위해 시는 지난 1월 전담조직인 ‘에너지산업과’를 신설했다. 현재 시의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은 전국 생산량의 약 0.5%, 전력자립도는 2.61%로 7대 특·광역시 중 매우 낮은 수준이다.
최근 화석연료 고갈과 세계 기후협약 등에 따라 국·내외 에너지 정세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에너지 이용 합리화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 이에 시는 신재생에너지 기반 구축을 위한 5개 역점 사업과 보급 확대를 위한 5대 추진 과제를 정했다. 우선 시는 수소에너지 집적화단지를 올해 생산기술 및 경제성 검증 후 연내 관련기관 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0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자, 2020년까지 수소관련 첨단 산업을 육성하고 국비 확보와 사업부지 선정, 사업화 등의 단계적인 추진을 위해 이를 전문적으로 맡는 에너지공사 설립도 검토한다.
수소연료전지 기반 청정산업단지도 조성될 예정이다. 현재 조성 중인 평촌과 하소 산업단지 및 대전산단에 연료전지 발전시설을 설치해 친환경 산업단지 조성과 비상 전력공급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향후 민자유치로 충남도시가스와 협의해 5㎿급 규모의 연료전지 발전시설을 설치, 일정 규모 이상의 산업용 및 주택용 연료전지시설을 확대한다.
이와함께 태양광, 지열 등 2개 이상의 신재생에너지를 융·복합 설치하는 에너지자립마을을 조성하기 위해 200억 원을 들여 도심과 떨어진 동구 추동 등 5개 자연마을을 설치할 계획이다. 태양광발전 활성화 일환으로 시는 전력판매가격 하락으로 태양광 발전 수익성 저하에 따른 보조금을 올해 신규 사업자부터 kWh당 50원씩 60개월 동안 지원한다.
일반주택 태양광발전 설치에 시비를 보조해서 2020년까지 500가구로 확대 보급할 계획이며 공공시설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적극 추진해 2020년까지 공공기관 및 공립학교 100개소에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한다는 방침이다. 올해는 7개소에 총 16억 원을 지원한다. 더불어 자전거 전용도로, 주차장, 쓰레기 매립장 등 유휴 부지를 활용한 태양광발전시설을 늘려나갈 계획이며, 특히 에너지효율성 제고를 위해 가로등·보안등을 비롯한 도로조명시설을 ESCO 융자를 통해 고효율 LED등으로 교체하는 한편 공공기관 142개소에 ESS 전력관리시스템을 구축해 블랙아웃사태를 예방한다는 게 시의 목표다.
시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통해 연간 연료비 절약과 이산화탄소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며 “앞으로 대전을 세계수준의 수소관련 첨단산업의 허브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신성룡 기자 milkdragon@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