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희정 도약 10.1%, 안철수 급락 4.7%

차기 대선주자 지지세가 20대 총선 이후 문재인·안철수 ‘야야(野野)’ 양강구도를 띠었으나, ‘충청대망론’의 주인공으로 거론되는 반기문 UN 사무총장의 방한 이후 반기문·문재인 ‘여야(與野)’ 양강구도로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

2일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얼미터에 따르면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일까지 3일간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2018명을 대상으로 대선주자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대권 행보로 비쳐진 5박 6일의 방한 일정을 마친 반 총장이 25.3%를 기록, 수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문재인 더민주 전 대표가 22.2%로 반 총장에게 오차범위 내에서 밀려 2위에 랭크됐고,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가 12.9%로 3위를 달렸다.

이어 박원순 서울시장 6.6%, 안희정 충남지사 4.8%, 오세훈 전 서울시장 4.3%,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 3.8%, 이재명 성남시장이 3.5%, 유승민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 2.9%, 김부겸 더민주 의원 2.5%, 남경필 경기지사 1.8%, 홍준표 경남지사 1.7%, 원희룡 제주지사 1.4%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대전·세종·충남·충북에서도 반기문 29.0%, 문재인 25.6% 순의 지지도가 나왔으나 전국 평균과 마찬가지로 오차범위 내에서 접전을 벌였다. 안희정 지사는 전국 평균 지지도(4.8%)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10.1%를 얻어 충청 주자로서 강세를 나타냈고, 안철수 대표는 전국 평균 지지도(12.9%)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4.7%에 그치며 ‘반풍(潘風·반기문 바람)’의 가장 큰 피해자(?)가 됐다.

정당 지지도는 전국적으로 새누리당 30.1%, 더민주 29.8%, 국민의당 17.7%, 정의당 7.6%, 대전·세종·충남·충북에선 새누리당 35.2%, 더민주 34.3%, 국민의당 13.2%, 정의당 5.2% 등의 순으로 파악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전화면접(CATI) 및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무선전화(57%)와 유선전화(43%) 병행 임의걸기(RDD)로 이뤄졌고, 지난해 말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연령·권역별 가중치를 부여해 통계를 보정했다. 응답률은 6.5%이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포인트다.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를 참조하면 된다.

최 일 기자 choil@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