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권 정책협의회 창립회의가 21일 대전시청에서 열려 중부권 광역자치단체장이 손을 맞잡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안희정 충남지사, 이시종 충북지사, 권선택 대전시장, 김관용 경북지사, 최문순 강원지사, 이춘희 세종시장, 김일재 전북도 행정부지사. 대전시 제공

 

충청권 4개 시·도와 경북·전북·강원이 참여하는 ‘중부권 정책협의회 창립총회’가 공식 출범, 국회 분원 세종시 설치 등 각종 현안에 공동 대응하기로 해 주목된다. <본보 6월 13일자 4면 보도 -7개 시·도 중부권 정책협의회 창립>

권선택 대전시장과 이춘희 세종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이시종 충북지사, 김관용 경북지사, 최문순 강원지사, 송하진 전북지사(김일재 행정부지사 대리참석) 등 중부권 7개 시·도 광역단체장들은 21일 대전시청에서 공동협력을 위한 중부권 정책협의회 규약을 확정하고, 공동합의문 14개 사업을 채택·발표했다.

채택된 사업은 ▲중부권 동서내륙철도 조기건설 ▲동서 3·5·6축 고속도로 조기건설 ▲호남선 고속화 사업 추진 ▲서대전역 경유 KTX 여수·목포 연결 및 증편 ▲세종~서울 고속도로(세종~안성) 조기 착공 ▲충북선철도 고속화 사업 반영 ▲수서발 KTX 및 기존 KTX 노선의 오송역 증편 ▲남북7축(간성~삼척~포항)고속도로 조기 건설 ▲중부고속도로(남이~호법) 확장 조기 건설 ▲수서발 KTX 공주역 증편 ▲장항선 복선전철 조기 건설 ▲전주~김천 복선전철 조기 건설 ▲수서발 고속철도 개통 시 전라선 증편 ▲중부내륙철도 사업 반영 등이다. 이와 함께 국회분원 세종시 설치, 2018 평창동계올림픽 성공개최 지원, 중부권 관광벨트 구축, 신라·중원·백제문화권 교류 등 중부권 7개 지역의 상생발전과 공동 번영 추구를 위한 숙원·핵심사업 등에서 공동 노력키로 했다.

이들은 합의문을 통해 한반도 허리경제권의 공동발전과 상생협력을 위해 지역현안 해결에 공조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특히 국회 분원 세종 설치, 세종~서울 고속도로 조기 착공, 실질적인 행정수도 지위 확보와 접근성 향상 등에 영·호남 지자체 공조를 이끌어낸 점이 눈길을 끈다.

국회 분원의 경우 세종에 정부기관이 밀집돼 있으나 국회가 서울에 위치해 행정 비효율성이 발생, 이를 해소하기 위해 여야가 제20대 총선 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고, 7개 시·도가 뜻을 모은 만큼 사업 추진에 상당한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종~서울 고속도로 조기 착공은 중앙부처의 정부세종청사 접근성 향상과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세종~안성 구간 착공시기를 2년 앞당겨 전체 구간을 오는 2022년 개통한다는 계획이다. 7개 시·도는 세종시와 경북신도청(안동) 간 고속도로 건설, 동서내륙철도 건설, 2018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개최 지원, 백제·신라·중원 문화권 소통 강화, 중부권 관광상품 개발·마케팅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초대 협의회장으로 선출된 권선택 대전시장은 “충청권과 경북·전북·강원은 오랜 역사를 통해 발전을 함께해 온 역사적·정서적으로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라며 “한 사람의 열 걸음보다 일곱 사람의 한 걸음이 더 오래, 더 멀리 갈 수 있는 만큼 오늘 이 자리를 계기로 7개 시·도의 공동번영을 더욱 강화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최 일·신성룡 기자 choil@ggilbo.com
세종=김종환·내포=김혜동 기자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