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은 ‘세계 결핵의 날’ 이다. 영양결핍이나 생활환경이 열악하면 쉽게 걸리고 전염되는 후진국 병으로 알려져 있는 결핵 발생률이 우리나라는 인구 10만명 당 90명으로 OECD 국가 가운데 최고다. 지난 2009년 통계에 따르면 국내 잠복 결핵 감염자는 1500만 명으로 추정되고 3만 5000여 명의 환자가 새롭게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2200여 명이 숨졌다. 특히 최근에는 치료제도 잘 듣지 않는 난치성결핵인 ‘다재내성결핵’이 증가하고 있는 등 결핵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도 1년에 8000억 원으로 추산된다. 이에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 등은 23일 2020년 까지 결핵 발생률을 선진국 수준인 10만 명당 20명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결핵환자 가족, 접촉자 검진 민간의료기관으로 확대 ▲1인당 검진 최대 비용 15만 원 국가 부담 ▲다재내성 결핵환자 입원명령 강화 ▲입원에 따른 생계비 지원 등의 대책을 발표했다. 지역에서도 그 동안 노숙자와 시설이용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결핵검진과 중·고교생, 대학생 등 소집단 생활자에게 대한 결핵검진, 홍보와 상담 활동 등을 통해 결핵 관리를 하고 있다. 대전시에 따르면 지역내 결핵환자는 2008년 1184명, 2009년 1384명, 2010년 1505명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인구 증가율과 신고 증가율에 비하면 그리 큰 증가세는 아니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체계적인 결핵관리가 되고 있는 듯 보여도 현실은 전염성으로 인해 까다로운 입원 절차와 대책 없는 퇴원조치, 장기간 안정적인 치료 시설 부족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또 결핵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으면 전염력이 없어지는 2주 동안은 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을 수 있지만 2주 간의 입원치료가 끝나면 후속 대책이 없다는 지적이다. 최초 결핵이 발병하면 최소한 6개월은 중단하지 않고 꾸준히 치료를 받고 약을 복용해야 하는데 치료약이 독해 주위의 도움없이 장기간 약을 복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노숙자나 쪽방 생활자 등 취약계층이 퇴원 후 6개월 동안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치료를 받기란 하늘에 별 따기다. 희망진료센터 원용철 목사는 “결핵에 걸려도 기본적인 생활 대책이 없어 중도에 치료를 포기, 다재내성이나 2기 정도로 진행된 중증 환자들이 센터에 오는 경우가 있다”며 “서울의 경우, 결핵집중관리시설 등을 건립해 안정적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지만 대전은 제대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곳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초기에 막을 수 있는데 결핵환자들이 치료와 포기를 반복하는 동안 병을 키우고 현재 항생제로는 치료가 어려운 다재내성균 등으로 발전하면 전염력도 강해져 시민들의 건강도 위협받게 된다”며 “실질적인 종합대책을 마련해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도 막지 못할 상황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