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태평지하보도 등 폐쇄…리모델링 예산·수요 등 문제
<속보>=대전시가 시내 보행육교 철거 및 지하보도 페쇄를 통해 이동 약자를 위한 이용 편의를 도모하고 있는 가운데 교통약자의 불편을 줄이자는 세계적 교통 정책의 흐름에 맞춘 움직임은 평가할 만하지만 폐쇄한 지하보도에 대한 활용방안은 숙제로 남는다.
현재 차량소통과 교통사고 예방을 목적으로 설치된 육교나 지하보도는 건립된 지 20년 이상 됐으며 노후화가 상당히 진행돼 교통약자들에게 불편을 주고 있다. 14일 시에 따르면 2억 8000만 원을 투입해 월평 보도육교, 중천 보도육교를 철거하고 정부청사 지하보도를 폐쇄한 뒤 횡단보도를 새로 설치했다.
이번 사업은 지난 2014년 수립된 교통약자 이용편의 증진계획의 후속조치로 주로 사고 일어난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됐으며 지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월평육교 부근 무단횡단으로 인해 사망 2건, 중상 2건이 발생했다. 교통약자 이용편의 증진계획은 5년마다 중장기 계획으로 진행돼 오는 2018년까지 마무리되며 오는 2019년에 다시 계획이 수립된다. 문제는 오는 2019년부터 진행되는 계획에 폐 지하보도 활용방안이 담길지가 미지수라는 점이다. 이용자가 적은 지하보도는 우범화 우려가 있고 되레 육교보다 이용을 꺼리는 게 현실이다. 지하보도가 설치된 당시에는 도시미관을 해친다는 육교의 대안으로 각광받았으나 지하보도는 당초 예상했던 통행량보다 적은 실정이고 우범화 우려, 유지관리 등의 문제가 노출돼 지난 2005년 이후 추가 건설은 없었다. 육교는 용도에 미치지 못할 경우 철거하면 그만이지만 지하보도는 마땅한 활용방안을 찾지 못해 입구만 폐쇄하는 상황이다.
대전지역 지하보도 18개 모두 간선도로에 위치해 있으며 이번 정부청사 지하보도를 포함해 시청지하보도와 태평지하보도, 둥지지하보도, 둔지미지하보도가 폐쇄된 상태다. 더욱이 지하보도 관리는 구 관할로 지정돼 구 입장에서는 적절한 활용을 위해선 또다시 예산이 수반해야 하기 때문에 선뜻 손을 쓰지 못하고 있다.
활용성도 문제다. 지하보도 공간이 시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해선 그만큼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야 한다. 시 관계자는 “폐 지하보도를 리모델링해 공간을 만들어도 그에 따른 수요가 있는지가 의문이다”며 “자칫 잘못하면 혈세를 낭비했다는 비난을 받을 수 있어 조심스러운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어 “폐 지하보도를 커뮤니티공간으로 바꾸기 위한 민원이나 시민단체의 요청이 있다면 얼마든지 지원 할 용의가 있다”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와 참여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신성룡 기자 milkdragon@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