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당선인 전면개편 공약

문화예술계 향후 상황에 촉각

염홍철 대전시장 당선인이 공약으로 명시한 대전문화재단(이하 재단) 개편 실행 방향을 두고 문화예술계가 술렁이고 있다.10일 지역의 한 문화예술단체 관계자 A 씨는 “염 당선인이 문화예술인을 중심으로한 민간주도형 재단으로 인적 조직 및 체제 전면개편을 내건 만큼 상당한 개편 폭풍이 몰아칠 것으로 전망된다”며 “재단의 개편의 방향과 규모 등에 대한 소문이 무성하다”고 밝혔다.또 다른 문화예술인 B 씨도 “예술인들 사이에선 염 당선인의 선거운동에 동참한 것으로 알려진 모 예술인이 재단 대표로 갈 것이라는 귀엣말까지 돌고 있다”며 “재단 직원들에 대해서도 대대적인 인사폭풍이 몰아칠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하다”고 말했다.염 당선인과 막역한 사이로 알려진 예술인 C 씨는 “최근 내가 줄을 대기 위해 어떤 정치인을 만났다는 터무니없는 얘기도 들었다”며 “염 당선인을 마음으로 지지한 것은 확실하지만 선거에 앞장서서 뛴 것도 아닌데 모함성 소문이 돌고 있다”고 해명했다.재단 측은 향후 진행될 개편에 내심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지만, 반응은 조심스럽다.재단 관계자는 “공적인 기관의 직원으로서 맡은 업무를 더 열심히 하는 것에 집중할 뿐”이라며 “체제 개편안 등을 언급하거나 동요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재단 직원 15명 중 시 파견공무원 2명을 제외한 13명이 계약직이기 때문에 개편에 따른 여파가 어떻게 미칠지 불안해하는 기색이 역력하다.이에 대해 공약실행위원회 문화예술분야 실행위원인 김상열 대전대 교수는 “새 당선인 입장에선 전임자의 공과에 대해 검토 작업은 있을 수밖에 없지만 재단과 관련해 구체적인 논의가 된 것은 없다”며 “당선자의 공약에 대한 검토와 실질적인 논의에 대한 윤곽은 오는 15일 시 업무보고 후에나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김 교수는 “공약실행위원회에선 실효 가능성에 대해 꼼꼼히 검토할 뿐”이라며 “예술인이라고 정치색이 없다라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정치성을 배제한다며 오히려 정치적인 상황이 되는 것을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