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는 기술사업화 지원체계 개편을 완료하고 제2차 특구육성사업을 본격적으로 가동한다고 17일 밝혔다.

연구개발(R&D)에 집중했던 단계에서 한 발 더 나가 구체적인 비즈니스 계획까지 포함한 ‘R&BD’의 영역을 더욱 확대한다는 복안이다. 출연연 중심에서 벗어나 기업 중심의 기술사업화 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 하겠다는 얘기다.

연구개발특구본부는 우선 기술사업화 모델을 기술지향형에서 시장견인형으로 전환해 지원 프로그램을 수요자 맞춤형으로 대폭 개편하고 가시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체계를 조정했다.

연구소기업 지원 예산을 전년 대비 2배 수준인 50억 원으로 확대하고, 올해 10억 원 규모의 대덕-대구-광주특구 간 연계 기술사업화 프로그램을 신설, 내년부터 대폭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기업 지원 프로그램도 ‘창업단계-초기성장단계-도약단계 등 기업 성장단계에 따른 수요자 맞춤형으로 개편해 단계별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도 마련했다.

사업화율이 저조한 R&D 지원체계에도 경쟁 체제가 도입된다.
R&BD 과제 선정 시 지금까진 연구기관과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과제를 신청하는 방식이었지만 앞으론 수요조사에서 도출된 유망기술에 대해 사업화 하고자 하는 복수의 기업을 공개 모집한 뒤 기술사업화를 지원하는 형식으로 체계를 전환할 계획이다.

R&D 예산이 단순한 ‘시혜적 지원’이란 인식을 불식시키기 위한 조치라고 연구개발특구본부는 설명했다. 시장성을 갖춘 제품화가 담보되지 않을 경우 R&D 예산 지원이 어렵다는 얘기다.

이재구 연구개발특구본부 이사장은 “제2차 특구육성사업의 핵심은 연구개발 성과를 유기적으로 결합해 기술사업화를 촉진하는 데 있다”며 “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연구개발특구 기술사업화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제고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