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고등학교 김덕희

내년부터 중학교 1년 동안 시험을 보지 않고 진로체험 활동 등을 하는 자유학년제가 실시된다. 자유학년제 기간에는 중간, 기말고사 등의 시험은 보지 않고 고교 입시 때도 내신 성적이 반영되지 않도록 할 것으로 보인다. 

자유학년제가 실시되면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적성을 파악할 수 있는 진로탐색 활동 위주의 수업이 시행되며 체험학습이나 토론학습 등의 수업이 확대된다. 교육부가 발표한 ‘자유학년제 실시계획’에 따르면 내년부터 1470개 중학교에서 자유학년제가 도입된다. 
이러한 자유학년제에 대한 반응은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자유학년제를 통해 학생들에게 자신의 꿈과 끼를 탐색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반대로, 1년 동안 시험을 시행하지 않는 것에 대한 불안감을 나타내며 사교육을 시키는 학생들에 비해 학력이 떨어질 것을 걱정한다는 의견이 있다. 

이처럼 자유학년제를 통해 학생들이 개개인의 특성을 살려 자유롭게 진로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문제점도 있다. 도시와 농어촌 등 지역과 학교에 따라 학생들의 다양한 진로에 맞는 직업인을 섭외하기 위한 역량이 차이가 나서 원하는 진로직업에 대한 수업을 듣지 못하는 학생들이 생겨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교사들의 자유학년제 준비가 미흡하다는 지적도 있다. 교사들에게 전적으로 자유학년제 활동을 맡기다 보니 교사의 능력에 따라 자유학기제가 기획되어 학생들은 교사에 따라 다른 경험을 하게 된다. 그리고 자유학년제는 중학교 1학년 동안 진로에 대해 탐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만 이 기간이 끝나면 학생들은 다시 입시 중심 체제로 들어가기 때문에 이 기간에 사교육을 방지하기가 힘들다.

이번 자유학년제를 실시하기 이전에 학력격차와 사교육의 조장을 해결할 대안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역과 학교에 따라 진로 탐색기회가 균등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교사에게만 자유학년제를 부담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을 설립하여 학생들이 일정한 질 이상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자유학년제의 이름처럼 학생들이 자유롭게 자신의 진로와 흥미에 대해 경험해 보기 위해서는 이를 도와줄 보조 프로그램들과 제도가 함께 시행되어야만 진정한 빛을 발할 것이다.

<인천국제고등학교 김덕희>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