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공원 조성사업, 갑천친수구역 등 현안사업과 국비사업 난관
권선택 대전시장이 직을 상실함에 따라 대전시 현안사업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반대 목소리가 여전한 월평공원 민간공원 특례사업과 트램 등 굵직한 현안사업들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도시철도 2호선 트램은 권 시장이 민선 6기 들어서면서 찬반 논란 속에서도 자기부상열차에서 트램으로 건설방식을 바꾸면서 이끌어온 사업이다.
국회에서 올 연말 트램 3법이 마무리되면 내년부터 본궤도에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지만 후임 시장의 결정에 따라 다시 한 번 요동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관가 안팎의 중론이다. 권 시장이 한 차례 건설방식을 바꾼 만큼 후임 시장이 트램 대신 다른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최선이냐 차선이냐를 떠나 이럴 경우 지난 3년간의 노고가 수포로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은 깊은 우려를 사고 있다. 행정의 연속성에도 치명상을 입게 된다.
일부 정당과 시민단체의 반발력이 큰 월평공원 민간특례사업도 걱정이다. 오는 2020년 도시공원 일몰제 시행에 앞서 월평공원에 대규모 아파트와 공원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시민단체의 반대에도 갑천 친수구역 인공호수 조성사업과 함께 권 시장이 강한 드라이브를 건 사업이다. 당장 시민단체에서는 후임 시장이 추진해야 할 사업이라며 사업 중단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어떻게 풀어 가느냐는 이재관 시장권한대행의 큰 숙제로도 작용할 전망이다.
내달 19일로 예정된 사이언스 콤플렉스 기공식과 유성복합터미널 사업자 선정 등도 계획대로 사업이 진행될 수 있을지 미지수지만 상대적으로 반대여론이 적어 그나마 물꼬를 틀 가능성은 높다.
이 밖에 옛 충남도청사 부지 매입비 국비 확보, 스마트시트 시범사업 및 도시재생 뉴딜 사업의 공모 등 중앙정부와 맞물린 현안은 이 권한대행 등 대전시 공무원들의 역량이 발휘돼야 할 사안들이다.
한 공무원은 “무죄 판결이 나왔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았겠지만 결과가 안 좋게 나왔다”며 “(권 시장의 공석이) 영향 없다고 볼 수는 없을 것 같다. 흔들림 없이 시정을 추진한다고 해도 일정부분 크고 작은 현안에서 차질이 빚어질 수 있을 것 같다”고 우려했다.
일각에서는 이 권한대행 체제하에 시 공무원들이 위기를 돌파할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도 내놓는다.
또 다른 공무원은 “시장이 직을 상실했다고 해서 행정이 멈추거나 백지화되지는 않는다”며 “대행체제로 운영되는 만큼 행정은 계속해서 잘 진행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서지원 기자 jiwon401@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