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실·국 명칭문제 거론 ··· "타 지자체 다 있다" 형평성도 제기

지역 보건의료계가 ‘보건’이 빠진 대전시 실·국의 ‘명칭’ 문제를 거론하고 나섰다.

의료관광산업을 최우선 시정 과제로 내세우는 대전시의 의지에 걸 맞게 현행 시청 직제에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중앙정부, 여타 광역단위 전국 지자체와 달리 실·국 명칭에 ‘보건’이 좀처럼 포함되지 않는 대전시의 무심(無心)에 대해 우회적으로 서운함을 내비친 것.

이철호 대전시의사회 회장은 21일 메디컬 CEO 글로벌 포럼에서 대표 인사말을 통해 이 같은 여론을 대전시에 전달하며 개선을 당부했다.

이 회장은 이날 조찬 포럼에 참석한 장시성 대전시 복지여성국장을 소개하면서 “정부는 보건복지부인데 지방은 복지여성국이라고 한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이 회장은 “(대전시도) 정부처럼 직제가 돼야 하지 않나하는 간절한 소망을 갖는다”며 지역 의료계의 의견을 가감없이 전달했다.

이어 축사에 나선 장시성 복지여성국장은 “오늘부터 보건복지여성국장입니다”라며 좌중의 웃음을 유도하면서 유연하게 넘겼으나 일부에선 덕장(德將)형으로 알려진 이철호 회장의 이날‘소신 발언’이 주는 시사점이 적지 않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

대전시의사회를 대표하는 이 회장이 대전시 실국의 명칭 문제를 거명하고 나선데는 지역 의료계의 대내외적 위상 문제와도 무관치 않다.

대전시는 의료관광산업 육성에 대해 강한 의지를 밝히고 있지만 정작 지역 의료계 안팎에선 대전시의 선도 행정을 아쉬워하는 목소리가 꾸준히 흘러나오고 있다.

지역 의료계 일선 현장은 그야말로 생사를 오가는 살벌한 생존 전쟁에 내던져 있지만 시의 행정은 해결사 역할보다 일선 병의원의 능력에 기대어 성과만 얻으려 한다는 의견도 없지 않다.

여타 시·도와의 형평성 문제도 제기된다.
인근 충남도는 ‘복지보건국’으로, 서울시는 ‘복지건강본부’, 경기도와 인천시는 각각 ‘보건복지국’, 부산시와 광주시는 각각‘복지건강국’, 대구시는 ‘보건복지여성국’등의 직제를 운용 중이다.

행정 직제에 ‘보건’, ‘건강’등의 직제를 사용하지 않는 곳은 대전이 사실상 유일하다.

지역 의료계의 한 인사는 “명칭 문제가 핵심이겠는가. 지역의료계에 대한 대전시의 관심도에 대한 신심어린 충고가 아니겠는가”라며 “전국에서 의료기관 최다 밀집지인 대전의 위상에 맞게 지역 의료계와 소통을 강화하고 문제점 해소에 적극 나서는 등 실천적인 자세를 견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