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석탄화력 조기감축 정책토론회 참석
‘석탄발전 기지’에서 ‘기후변화 대응 리더’로 의지 밝혀

2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노후 석탄화력 조기감축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양승조 충남지사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충남도 제공

양승조 충남지사는 21일 “석탄화력발전은 더 이상 우리의 미래가 아니다”라며 “전력 수급 상황을 고려해 석탄화력발전소를 단계적으로 폐쇄하거나 친황경 에너지로 전환하는 게 바람직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 지사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노후 석탄화력 조기감축을 위한 정책토론회’에 참석, “현재 가동 중인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60기 중 절반인 30기가 충남에 몰려 있고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은 국민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며 이같이 제안했다.

이번 정책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충남 당진)과 김성환 의원(서울 노원병)이 공동 주최하고, 충남도와 산업통상자원부 후원으로 마련됐다.

영국의 금융 싱크탱크 카본트래커 이니셔티브 소속 매튜 그레이 수석분석가가 석탄발전의 재무적 위험성에 대해 발표하고, 충남도 석탄화력조기폐쇄전담팀(TF)의 김승완 충남대 교수는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유효한 정책 옵션 분석, 사단법인 기후솔루션 이소영 부대표는 노후석탄 조기폐지 필요성과 법·정책적 실행과제를 발제했다.

앞서 매튜 그레이 수석분석가는 지난 19일 도 TF팀 자문회의에서 “도내 화력발전소는 2024년부터 재생에너지와 비교할 때 가격 경쟁에서 경제성이 떨어진다. 석탄발전 신규투자를 중단하고 비용 최적화된 폐쇄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도는 전력 수요가 많은 수도권과 인접성, 석탄 수입의 용이성 때문에 국가정책적으로 충남에 석탄화력발전소가 가장 많이 입지해 있고,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2015년 기준 경기(28만 3000t)에 이어 2위(27만 9000t)를 차지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라는 점을 들어 도내 노후 석탄화력발전소의 폐쇄 시기를 최대한 앞당겨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내구연한 30년을 훌쩍 넘긴 보령 1호기(1983년 준공)와 보령 2호기(1984년)가 대표적이다. 도는 올해 정부가 수립할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보령 1·2호기 폐쇄 시기를 기존 2022년에서 2020년으로 2년 당기는 방안을 관철해 낸다는 목표다.

도내 32개 시민단체로 꾸려진 ‘충남 미세먼지 석탄화력 공동대책위원회’도 최근 출범 기자회견을 열어 “전기사용이 많은 겨울철에도 전력예비율이 20%를 넘는 만큼 보령화력 1·2호기를 폐쇄하더라도 전력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며 즉각 폐쇄를 촉구하는 등 도의 행보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양 지사는 이날 토론회 인사말을 통해 “앞으로 우리도는 ‘대한민국 석탄발전 기지’라는 오명에서 벗어나 ‘기후변화 대응의 리더’로 새로운 길을 달려가려 한다”며 “35년 이상된 보령 1·2호기 2020년 조기 폐쇄 등 우리도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힘과 지혜를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내포=문승현 기자 bear@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