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우리 지역의 주요 기사 정리하겠습니다. 뉴스 브리핑 금강일보 최 일 기자입니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후 6시 5분, 지역의 현안과 이슈를 전하는 시사정보 프로그램 대전MBC 라디오 <생방송 오늘> 뉴스 브리핑 코너. 우리 지역의 하루가 궁금하다면 주파수를 표준 FM(92.5㎒)에 맞추고 볼륨을 높여보세요.
▶방송: 대전MBC <생방송 오늘> FM 92.5㎒ (오후 6시 5분~7시)
연출: 장래균 PD / 진행: 손지혜 아나운서

1-허태정 대전시장이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만나 중기부의 대전 잔류를 요청했죠?
▲허 시장은 오늘 정부대전청사에 자리한 중소벤처기업부를 방문해 박영선 장관에게 대전 잔류를 요청했습니다.
허 시장은 “중기부의 신임 장관이 취임할 때마다 세종시로 이전한다는 이야기가 나돈다”며 “꼭 대전에 잔류해야 한다”고 강조했는데요.
허 시장은 중기부가 대전에서 세종시로 옮기는 것은 비수도권간의 공공기관 이전으로, 수도권 과밀 해소와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세종시 설치 목적과 맞지 않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또한 대전은 충남과 함께 혁신도시에서 제외돼 공공기관 이전과 지역인재 채용에서 그동안 불이익을 받아왔고, 대덕연구개발특구 등 과학 인프라와 연계된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벤처기업이 밀집돼 있어 중기부 소재지로 최적지임을 강하게 주장했습니다.
2-공정거래위원회가 스크린골프 전문업체인 ‘골프존’에 대해 봐주기식 조사를 해 가맹점들을 벼랑으로 내몰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네요?
▲전국골프존사업자협동조합과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는 오늘 정의당 추혜선 의원과 함께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골프존의 불공정행위에 대한 공정위의 무혐의 처분을 비판하고,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을 청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골프존에서 각 가맹점주들에게 코스 이용료를 부과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는데요.
공정위는 ‘각 가맹점주들이 코스 이용료 납부에 관한 계약서에 직접 서명했고, 코스 이용료는 점주가 고객들에게 사용료로 보전받을 수 있다’라는 이유로 무혐의 처분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가맹점주들은 “직영점이나 다른 사업자의 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경쟁이 심해져 사용료에 코스 이용료를 반영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코스 이용료를 내지 않으면 영업을 할 수 없도록 해 어쩔 수 없이 계약서에 서명을 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추혜선 의원도 “골프존은 원가의 10배가 넘는 비싼 기기를 가맹점주들에게 구매하도록 해 폭리를 취하고, 코스 이용료 납부를 강제하고 있다”며 “갑을 비호하는 공정위의 형식적인 조사가 부당행위를 정당화하고, 을인 점주들을 압박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대해 골프존은 입장문을 내고 “점주들에게 부당하게 코스 이용료를 전가시키고 있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18홀 기준 2000원인 코스 이용료는 점주가 아니라 이용자에게 부과하는 금액이다. 점주가 캐시를 충전한 후 이용자로부터 이용료를 받고, 점주가 충전한 캐시가 차감되는 순서로 과금이 되는데, 골프존은 이에 대한 보상으로 점주에게 매월 전체 캐시 차감액의 8% 페이백을 지급하고 있다”며 “이러한 골프존의 입장에 대해 법원, 검찰, 공정위 모두 골프존의 손을 들어줬다”고 강조했습니다.
3-한 군소정당이 현행 시·도당 창당 요건의 완화를 주장하고 나섰죠?
▲현행 정당법상 각 시·도당은 당원 수가 1000명이 넘어야 창당할 수 있고, 최고 5개 시·도당을 창당해야 중앙당을 창당할 수 있는데요.
녹색당 충남도당은 오늘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와 관련해 법 개정을 촉구했습니다.
이들은 "충남도당 당원 숫자가 1000명이 안 돼 공식 창당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인구와 상관 없이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동일한 시·도당 창당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공무원과 교사의 정당 가입을 금지시키는 것도 부당하다. 이것이 허용되도록 헌법소원을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4-논산에서 고양이 사체가 훼손된 채 발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고요?
▲논산에서 목이 잘린 새끼 고양이 3마리의 사체가 발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
경찰은 최근 논산의 한 아파트 단지 입구 주변에서 주민의 신고로 목이 잘린 고양이들을 발견해 수사에 착수했는데요.
경찰은 죽은 길고양이의 새끼를 돌봐온 한 여성이 고양이들에게 밥을 주는 문제로 주민들과 마찰이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주변 CCTV 화면을 분석해 잔혹하게 새끼고양이를 죽인 동물학대범을 찾고 있습니다.
5-대구은행이 대전에 점포를 개설했네요?
▲IMF 외환위기 당시 충청은행이 퇴출되면서 지역은행이 없어진 대전에는 이미 전북은행, 부산은행이 입점해 있는데요. 대구은행까지 대전 금융시장에 진입했습니다.
오늘 서구 둔산동에 문을 연 대구은행 대전지점은 지역사회의 동반성장을 대전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사랑나눔 후원금 1000만 원을 전달했는데요.
대구은행은 수도권 8개 점포와 연고지 경북을 연결하는 대전지점 개소가 전국 영업망 확대에 있어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