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세종집무실 등 설치 실현 총력
세종형 자율차 산업 기본계획 수립

행정수도 세종 완성, 신개념 시민주도 자치문화 혁신 등 정책실현을 내걸고 민선7기 세종시정 이춘희호(號)가 출항한 지 10개월 여.
‘실질적 행정수도’로서의 위상정립과 ‘세종형 자치분권’의 초석을 다지며 새 역사의 ‘금자탑’을 쌓아올리고 있다. 세종시 ‘자치분권’은 전국 최초로 자치분권 특별회계와 자치대학 설치 등 벤치마킹 대상으로 떠오르는 등 선두주자 역할을 하고 있다.
시는 오는 2030년까지 건설이 계획된 신도시다. 현재 인구 33만 도시로 1단계 계획은 차질 없이 완료된 상태다. 시의 올해 중점 프로젝트 역시 행정수도 세종시 완성과 자족기능 확충에 필수적인 산업발전 등 투 트랙(two-track)을 구상하고 있다.
시는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 행정수도 헌법 명문화,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 미이전 행정기관 추가이전 건의 등을 추진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은 국회사무처에서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 관련 연구용역을 발주한 상태다. 이 결과에 따라 건립 입지, 규모 등이 정해져야 적정한 설계비를 가늠할 수 있다. 이와는 별도로 세종시는 국회 세종의사당 부지를 이미 확보해 둔 상태다.
대통령 세종집무실 설치는 청와대 차원에서 세종집무실 설치를 위한 TF팀을 구성해 이전 규모, 위치 등을 검토하고 있다. 청와대와의 협의를 통해 대통령 세종집무실 설치 논의가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행정수도 완성 시민대책위 등과 공조를 강화하는 한편, 대통령 세종집무실 설치 관련 설치 필요성 홍보 등을 통해 국민공감대를 형성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펴고 있다.

세종시 자치분권과 관련해서는 ‘세종형 자치모델’ 구축과제를 반영시켜 자치분권 선도모델을 완성하는 틀을 견고하게 다진다는 각오다. 올해는 주민자치 현장에서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읍·면·동장 시민추천제가 면·동 지역까지로 확대된다.
또 시민주권대학을 본격 운영해 주민자치역량을 더욱 강화하는 한편 ‘마을기록문화관’ 구축 등 마을공동체를 더욱 활성화해 나갈 계획이다. 세종시 정책방향의 한 축인 도시 자족성과 지속가능성 실현과 관련해서는 최첨단 기술들을 지역산업과 연계해 특화시켜 나가고 있다.
자치분권 선도모델 완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도 세종시의 오늘이다. 이 가운데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모두 담은 자율주행차 연관산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역여건에 적합한 자율주행차 산업을 육성시키고자 ‘세종형 자율차 산업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단계적으로 추진 중에 있다. 향후 남부권은 자율주행 연관산업의 기술실증, 연구개발 지원, 공공데이터 개방 등 SW와 IT 중심의 자율주행 서비스산업으로 특화된다.

북부권은 장영실과학기술지원센터를 거점으로 ICT에 기반한 제조융합산업을 촉진해 자율주행 첨단부품 산업으로 고도화한다. 궁극적으로 세종시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수도권과 경쟁 가능한 중부권 지식서비스산업 혁신거점으로 자리매 김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세종=서중권 기자 0133@ggilbo.com
서중권 기자
0133@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