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방식 다양해지지만 부담늘어
조기경보시스템 잇따라 도입
리스크 관리에 선제적 대응 검토

“정부가 중소기업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만큼 은행들도 심사를 완화하거나 기술력을 기준으로 특별대출을 내놓고 있습니다. 다만 경기 전망이 좋지 않아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대출 시 조심스런 건 매한가지죠.”

대전 한 시중 은행 관계자의 귀띔이다. 이처럼 국내 시중은행들이 정부의 중소기업 활성화 기조에 맞춰 중소기업대출을 늘리고 있지만 리스크가 큰 만큼 기업신용평가 개편, 조기경보시스템 도입 등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13일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에 따르면 중소기업 대출태도지수는 17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정부의 중소기업금융 인센티브 활성화, 2020년 예정인 새로운 예대율 규제 적용 등의 영향으로 중소법인대출을 중심으로 완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대출행태 서베이는 금융기관의 대출 태도를 -100에서 100 사이 숫자로 나타내 지수가 마이너스면 앞으로 대출심사를 강화하겠다는 기관이 완화하겠다는 곳보다 많다는 뜻이다.

주요 시중은행들은 정부의 혁신금융 기조에 따라 중소기업에 대해 다양한 대출방안을 내놓고 있다. 지식재산권(IP)을 담보로 한 지식담보대출을 출시하기도 하고 지자체와 업무협약을 통해 중소기업 대상 특별대출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경기 둔화 등의 이유로 중소기업대출 부실 우려에 대비해 기업신용평가 시스템을 개편하거나 조기경보시스템을 도입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조기에 감지함으로써 위기대응 능력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KEB하나은행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 기업신용평가 시스템을 계정계로 전환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조기경보시스템을 최적화하는 작업도 마쳤다. 신한은행도 기존 조기경보시스템을 전면 재구축하고 관련 프로젝트를 실행할 업체 선정에 나섰다. 이는 조기경보시스템 재구축을 통해 기업여신에 대한 변별력 및 사전 경보 능력을 개선해 부실화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고 기업여신에 대한 자산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KB국민은행은 ‘연체 정상화 예측모형’을 고도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대출이 연체되면 고객의 금융거래 이력과 상환능력, 대출상품의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향후 정상화 가능성을 예측하는 시스템이다.

시중은행들이 이처럼 중소기업대출에 신중을 기하는 것은 대출연체율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지난 2월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66%로 전월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2월 말 기준 연체율이 지난 2016년 0.95%를 기록한 이후 매년 같은 달 하락 추세를 보였지만 올해 들어 상승했다.

대전 A 은행관계자는 “경제의 각종 지표가 악화되고 있는 지금은 부실 리스크 관리에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한 때”라며 “경제성장률도 1% 후반대로 내려갈 수 있고 신규 고용도 크게 늘지 않는 등 경기가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송승기 기자 ssk@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