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부종합전형 공정성 확보 전제 속
“현행 수시·정시 비율 문제 없어” vs “학종으론 곤란, 정시 확대로 기회 균등을”

◆ 학종 공정성 보완한다면…“수시·정시비율 유지해야”
학종은 수시를 이루는 큰 가지 중 하나다. 수시 비중이 확대되면 학종의 중요성도 점차 높아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수시 비중은 꾸준히 확대됐다. 2019학년도에는 76.2%였고, 2020학년도에는 77.3%로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수시 비중이 높아졌다는 것은 입시 제도로서 확고한 위치를 굳혔다는 의미다.
문제는 잊을만하면 학종 후폭풍이 일어난다는 점이다. 학종=수시가 아님에도 학종의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해질수록 수시를 바라보는 시선도 곱지 않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일부 현직 고교 교사와 입시컨설턴트는 현행 수시와 정시 비율은 무리한 게 아니라고 진단한다. 정부가 학종의 불공정성 논란을 없앨 수 있는 보완책을 내놓는다는 가정에서다.
대전 A고교 교사는 학종이 지니고 있는 불합리한 요소를 보완한다면 수시와 정시 비율은 문제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 교사는 “학종이 가진 자들에게 유리한 구조로 돼 있다는 점은 안타깝다”며 “부유층 리그에 있는 전유물처럼 활용되고 있는 점은 아쉽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종이 기존 지식암기 위주의 교육과정을 뛰어넘는 다양성을 지향하는 측면에서는 의미있는 전형”이라며 “학종에 대한 공정성만 확보된다면 현재 7대 3정도의 수시와 정시 비율은 바람직해 보인다”고 말했다. 그로부터 학생들의 소회도 들어봤다.
그는 “학생들은 수시전형, 수시보완, 정시확대 등에 별 관심이 없다. 현 1~2학년은 대입제도가 많이 바뀌지 않는다. 수시로 진학할지 정시로 진학할지를 결정하는 게 우선 일 뿐”이라며 “내신이 좋은 학생들은 당연히 수시를, 내신등급이 좀 떨어지는 학생들은 두 가지 모두 준비한다”고 귀띔했다.
학종의 문제점을 개선한다는 전제로 정시와 수시 비율은 문제되지 않는다는 데 학원가도 동의한다. 김태근 이투스 학력평가원 이사는 “수시비율을 70%로 유지한다고 하더라도 100% 충원하는 곳이 없어 정시로 이월된다면 (수시는)60% 정도만 적용되는 셈”이라며 “수시 지원으로 6곳을 합격했을 경우 최종 등록일에 1곳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정시 비중은 더 커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보완책이 나오더라도 명쾌한 방안이 아닐 가능성이 커 결국 문제는 발생하게 돼 있다. 충돌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셀프학생부 문제도 해결해야하고 대학들이 합격과 불합격 여부 원칙을 명확하게 발표하지 않는다면 수험생들은 계속 혼란에 빠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 “학종 공정성 보완해도 정시 확대 필요”
정시 확대론도 만만찮다. 학종의 문제점인 공정성을 확보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이참에 수시는 낮추고 정시는 높이자는 게 정시 확대론의 골자다.
대전 B 고교 한 교사는 학종 자체를 반대하고 있다. 학생부를 작성함에 있어 자괴감에 빠진다는 이유에서였다. 해당 교사는 “학종의 장점은 분명히 존재한다. 하지만 교사의 양심으로 비춰볼 때 진정으로 아이들을 이해하고 작성하는 것인지 스스로 묻게 된다”며 “단점을 서술할 수 있는 성질의 것도 아니고 학생부의 세부능력특기사항을 학생이 쓰는 경우도 발생한다”고 안타까워했다. 이런 폐단을 줄이려면 정시 비율을 확대해야 한다는 게 이 교사의 주장이다.
입시 관계자들 사이에서도 정시 확대론을 펴는 이들이 있다. 학종은 보완하되 정시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거다. C업체 관계자는 “내신이 불리한 학생들에게 돌파구를 마련해 줘야 하는데 기회의 균등성을 주기 위해서는 정시 비중을 조금은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시와 정시비율을 60%와 40%로 변경한다면 수시 이월 인원을 고려했을 때 5대 5의 비율이 될 것”이라며 “정시를 확대해야 한다고 보는 데는 정부가 학종을 제대로 보완하지 못할 것이라는 확신이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나올 만한 모든 방안이 제시된 만큼 뾰족한 묘수는 없을 것”이라고 비관적으로 전망했다.
유상영 기자 you@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