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에 개 같은 짐승이 문소전(文昭殿) 뒤에서 나와 앞 묘전(廟殿)으로 향하는 것을, 전복(殿僕)이 괴이하게 여겨 쫓으니 서쪽 담을 넘어 달아났다. 명하여 몰아서 찾게했으나 얻지 못했다.
사신은 논한다. 침전(寢殿)은 들짐승이 들어갈 곳이 아니고, 전날 밤에 묘원(廟園) 소나무가 불타고 이날 밤 짐승의 괴변이 있었으니 며칠 동안 재변이 자주 보임은 반드시 원인이 있을 것이다- 중종실록 13권, 중종 6년 5월 9일 무오 1번째 기사 

중종 6년인 1511년 5월 9일에 한양을 떠들석 했던 일이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한 괴수가 궁 안에 있는 것을 발견하고 궁내 경호실에서 이를 쫒았으나 서쪽 담을 타고 넘어갔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이런 괴수가 나와서 돌아다니자 궁이 크게 소란해졌다고 전한다. 이 괴수의 형상에 대해서는 '삽살개 같이 생겼으며 크기는 망아지 같았다' 고 묘사했다. 움직이는 속도 또한 매우 빨랐다는 후문이다. 이후에도 이 괴수가 나타났다는 이야기가 돌고 거기에 귀신과 관련된 소문까지 보태지면서 괴수인지 귀신인지를 두고 조정에서 설왕설래했다고 한다. 괴물 소동이 얼마나 궁을 소란스럽게 했던지 중종 22년인 1527년 6월 26일에는 사헌부에서 다음과 같은 상소를 올리기도 했다. 

-요괴로 인해 이피(移避)하려는 계획을 세운 것은 자전(왕대비)의 뜻에서 나온 것이므로 신들이 감히 아뢰지 못하겠습니다. 당시 병조·도총부(都摠府) 및 위부장이 대응을 엄히 금지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스스로도 두려워하고 겁냈기 때문에 어리석은 군사들이 더욱 경동했습니다. 또 병조의 입직 당상(入直堂上)과 낭관(郞官)은 의당 율에 의하여 죄를 정해야 할 것인데 버려두라고 명하셨으므로 군령이 더욱 엄하지 못하게 됐습니다. 이제부터는 감히 전같이 경동하여 떠드는 자가 있으면 모두 율에 의하여 죄를 정하게 하소서- 

쉽게 말하면 쓸데없는 공포에 사로잡히지 말고 앞으로 경거히 소문을 퍼뜨리고 다니는 자에게는 엄벌하라는 의미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괴물은 한동안 잠잠하나 싶다가 또 나타났는데 이번에는 대비전에 나타나 창벽을 마구 두드리기까지 했다.  이에 대비전이 경복궁으로 이어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그리고 2년 후인 중종 27년 5월 21일에도 괴물이 궁궐에서 날뛰기까지 했다. 궁궐을 수비하는 금군이 소란스러웠을 정도로 괴수 출현은 사람들을 매우 놀라게 했다. 괴수는 중종이 죽고난 뒤 인종이 즉위한 뒤에도 나타났는데, 인종이 죽은 다음 날인 인종 1년 7월 2일을 마지막으로 종적을 감춘 것으로 전해진다.

이 괴담은 당시 '중종반정'과 '조광조 일파 숙청', '김안로 숙청' 등으로 정치적인 혼란이 만연하던 당시 궁중 사람들의 심리적인 동요가 괴수라는 형상으로 나타난 거라는 해석이 있다.

[출처-wikipedia, namuwiki] [정리-박정환 기자 pjh@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