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청원에도 등장한 '문재인 대통령 탄핵' 7만명 돌파

'문재인 대통령 탄핵' 청와대 청원에 이어 국회 국민동의청원 게시판에도 문 대통령의 탄핵을 촉구하는 청원이 올라왔다.
1일 저녁 8시 이 청원은 7만4530명의 동의를 얻은 상태다. 국회 청원은 한 달 안에 10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는다면 '국민 청원'으로 공식 접수된다.
해당 청원은 지난달 28일에 올라왔으며 이틀 만에 7만명 이상을 돌파, 큰 문제 없이 10만명 동의를 충족할 것으로 보인다.
청원은 “문 대통령의 대처를 보면 볼수록,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아닌 중국의 대통령을 보는 듯 하다”며 “국내에선 마스크가 가격이 10배 이상 폭등하고 품절상태가 지속되어 마스크 품귀현상으로 국민들이 마스크를 구입하기도 어려운 데 대통령은 300만개의 마스크를 중국에 지원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 세계적으로 총 62개국이 중국인 입국금지, 중국 경유한 외국인에 대한 입국금지 등 강력한 제재조치를 행했다”면서 “정부는 (중국) 눈치를 보며 내놓은 대책이라는 것이 ‘후베이성을 2주 내 방문한 외국인 입국 전면 금지’란 대책이다”고 비판했다.
또한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은 ‘자국민 보호’”라며 “정말 자국민을 생각했다면 중국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입국 금지했어야 한다. (심지어) 이제는 중국마저 우리에게 입국제한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중국인에겐 마스크와 손 소독제 도시락마저 좋은 것을 퍼주면서 우리나라 의료진에게는 부실한 식사를 대접하고 대구 쪽에 의사를 파견하고 숙소는 알아서 하라는게 이것이 나라의 대통령인가”라며 “문 대통령을 우리나라 대통령이라고 생각하기 어렵다. 탄핵을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에도 코로나19 방역 대응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문 대통령의 탄핵을 촉구하는 국민청원이 올라왔고 동의자가 100만명을 돌파한 상태다. 청와대 국민청원은 20만명 이상이 동의한다면 청와대에서 공식 답변을 내놓아야 한다.
반면 국회의 국민동의 청원은 30일 이내에 10만명의 동의를 얻은 온라인 청원을 소관 상임위원회에 자동 회부하는 제도다. 즉 오는 28일까지 이 청원 동의자 수가 10만명을 넘기면 소관 상임위로 넘어가 심사를 받게 되기에 청와대 청원에 비해 파문이 클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청와대 청원과 달리 실명인증을 필요로 한다. 그만큼 ‘매크로 프로그램 조작설’, ‘조선족 동원설’ 등으로 홍역을 앓고 있는 청와대 청원과 달리 비교적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