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위 소득 감소, 5분위 소득 증가
빈자에게 더 쓰린 현실에 시민 박탈감
[금강일보 곽진성 기자] 3분기 가계소득 분배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여럿 지원에도 가난한 사람들이 더 가난해지는 빈익빈부익부 현상이 뚜렷이 나타났다는 점에서 빈자(貧者)들의 허탈감이 더해지고 있다.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3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63만 7000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1% 감소한 반면 소득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39만 7000원으로 2.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분위(337만 6000원)가구는 소득이 1.3% 하락했고, 3분위(473만 1000원)는 0.1%, 4분위(638만 1000원)는 2.8% 올랐다.
이는 기존보다 분배지표가 더 벌어졌음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분배 지표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지난해보다 0.22배 오른 4.88배로 나타났다. 정부 지원금 효과를 제거한 시장소득(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사적이전소득) 5분위 배율도 8.24배로 지난해 7.20배보다 1.04배 높아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1분위는 임시·일용직 중심의 취업자 감소 등으로 근로소득이 큰 폭으로 감소하고 음식·숙박업 등의 업황부진으로 사업소득이 감소했다. 다만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소상공인새희망자금 등 2차 재난지원금의 영향으로 공적이전소득이 15.8%나 증가해 감소폭을 줄였다”며 “반면 5분위는 300인 이상 사업장과 상용직 취업자가 늘고, 제조업 생산 증가 등의 영향으로 소득이 증가한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이렇듯 3분기 가계소득 분배 악화가 수치로 드러나자 정부는 서둘러 대책마련에 나서는 모양새다. 이날 정부가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열어 소득분배 상황 등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방향을 논의한 것이 대표적이다. 회의에서 정부인사들은 4차 추가경정예산(추경) 등의 신속히 대응한 덕에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내수·고용충격과 분배 악화가 완화됐다고 자평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임시·일용직 근로자와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 시장소득 감소가 커 정부 지원을 통한 소득·분배 여건 개선에는 한계가 있다는 의견도 나눈 것으로 파악된다. 정부는 향후 고용·사회안전망을 확충하고, 시장소득 회복을 지원하는 등 적극적 정책대응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내년 경제정책방향에 고용·사회안전망 강화, 시장소득 개선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충실히 반영한다는 입장이다.
빈익빈부익부의 심화에 시민들은 허탈하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악화와 그 피해를 고스란히 약자에게 쏠린다는 불만의 목소리다. 대전시민 A 모(33·여) 씨는 “최근 들어 빈익빈부익부 현상이 진짜 초고속으로 이뤄지는 것 같다”며 “코로나19로 인해 안 그래도 경제적으로 힘들어 죽겠다. 버티려고 아르바이트를 구해볼까 해도 최저임금마저 올라 알바 구하기가 힘들다. 진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최악의 경제상황을 맛보고 있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곽진성 기자 pen@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