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행·동행지수 5개월째 동반상승
코로나19 영향따라 산업활동 등락

[금강일보 곽진성 기자] 10월 생산이 전달과 변함없이 제자리에 머물렀다. 서비스업 생산은 늘었지만 제조업이 줄었으며, 소비·투자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코로나19의 영향에 따라 전체 산업활동동향이 등락하는 모양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10월 전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전월 대비 0.0%로 제자리에 머물렀다. 전산업생산은 지난 8월 -0.8% 하락한 후 9월 2.2%로 반등해 경기회복의 기대감을 갖게 했으나 10월 다시 내려앉아 제자리걸음을 했다.

광공업 생산은 1.2% 감소했다. 호조세를 보였던 반도체생산이 지난 9월 대비 9.5%, 전자부품은 2.6% 줄은 영향이 컸다. 화학제품(3.5%), 의복및모피(15.7%), 의료정밀광학(10.4%) 증가가 그나마 하락폭을 줄였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달보다 1.2% 늘었다. 이는 10월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 등의 영향으로 숙박·음식점 생산이 늘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숙박·음식점 생산이 13.3% 증가했다. 또 정보통신(2.6%), 운수·창고(2.6%), 예술·스포츠·여가(13.1%) 등에서도 증가세를 나타냈다. 제조업 생산은 1.3% 줄었다. 9월에 전년 동기 대비 늘었던 수출은 10월 다시 3.6% 떨어졌다.

산업생산의 제자리 걸음은 10월 숙박·음식 등 분야에서 생산이 늘었지만 수출 부진 등에 제조업 증가세가 꺾인 점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전월보다 0.4포인트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동행지수와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동반 상승은 5개월째인데, 1998년 9월부터 1999년 8월까지 12개월 연속 상승한 이후 21년 2개월 만에 가장 긴 연속 동반 상승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경기종합지수는 수치상으론 전반적으로 개선흐름”이라면서도 “코로나19 등 불확성이 큰 것은 여전하다”고 말했다.

 

곽진성 기자 pen@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