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회동향 2020’ 발표
성숙한 시민의식, 정부 차원 대책 필요
[금강일보 곽진성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불안과 빈곤’의 그림자가 한국사회에 드리우고 있다. 지난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0’를 통해 코로나19발(發) 충격이 드러난 가운데 일각에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사회 통합 정책을 강조하고 있다.
◆ “무서운 코로나19, 확진 비난 더 무섭다”
대전 시민 A(37) 씨는 올해 외출을 자제하는 삶을 실행하고 있다. 나날이 악화일로를 걷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해서인데, A 씨는 하나의 이유를 더 언급한다. 확진 시 받을 사회의 손가락질에 대한 걱정이었다. A 씨의 인식과 결을 같이하는 국민이 적잖다. ‘한국의 사회동향 2020’에 수록된 유명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의 연구(코로나19 감염 확진과 낙인에 대한 두려움)에 따르면 3~4월에는 ‘확진이란 이유로 비난받고 피해 입을 것이 두렵다’는 응답이 ‘확진될까 두렵다’는 응답보다 10% 포인트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이런 경향은 6월에야 역전됐다.
◆“코로나19 감염은 개인 탓 인식 강해”
코로나19 감염 책임을 개인 탓으로 보는 경향도 상당했다. 유 교수의 ‘코로나19 감염 책임에 대한 귀인’ 연구에 따르면 지난 3월부터 6월까지 ‘코로나19 감염은 환자 스스로 막을 수 있었다’ 등의 명제에 ‘전혀 그렇지 않다’부터 ‘매우 그렇다’까지 1~5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응답 평균 점수를 산출했는데, 3점 안팎의 평균 점수를 꾸준히 기록했다. 시민 B(28·여) 씨는 “혹시라도 코로나19에 확진되면 나 뿐만 아니라 주변사람에게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비난받을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며 “만약 코로나19에 걸렸다면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지 않아 감염됐다고 생각할 것 같다”고 말했다
◆국민 절반, 일자리 잃거나 임금이 줄어
코로나19발 빈곤의 파고도 사회에 큰 충격을 줬다. 오상봉 한국노동연구원의 ‘코로나19 이후 노동시장의 변화’에 따르면 지난 5월 조사 결과 일반 국민 중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임금이 줄었거나 일자리를 잃은 경우가 49.7%에 달했다. 시민 C(35·여) 씨는 “단골 식당이 문을 닫고 아는 후배는 실직했다. 거리에 가게들이 망하는 것을 보며 기분이 착찹하다”고 자조했다. 저소득층의 고충이 특히 컸다. 올해 1분기 소득 5분위 배율(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은 5.41배, 지난해 5.18배에 비해 확대됐다. 저소득층의 경우 당장 일하지 않으면 생활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감염 위험에도 계속 일을 할 수밖에 없었고, 일하는 환경 또한 좋지 못한 경우가 적잖았다.
◆성숙한 시민의식, 정부 차원 대책 필요
코로나19 여파로 우리사회에 드리운 ‘불안과 빈곤’을 해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일각에서는 피해자인 확진자를 감싸 안을 수 있는 시민의식의 성숙함과 저소득층 및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정부의 특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정지범 울산과학기술원 교수는 “그동안 (정부 등에서) 대응을 잘 해왔지만 사회통합측면에서 문제가 있지는 않았나 생각해 봐야 한다”며 정부 차원의 캠페인과 차별금지법 마련 등이 필요해 보인다.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 관점, 그들을 보듬어 안고 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곽진성 기자 pen@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