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기 쉽고, 알기 쉬운 정리!
신비로운 중국의 신화 정리!
NO.2 대륙의 자연을 담은 신화들!

오늘은 중국에 대해 알아보자! 중국하면 한푸와 치파오, 만두 등과 같은 의상들과 맛있는 음식들이 떠오를 것이다. 또한 역사와 이야기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라면 ‘중국’이란 키워드를 들었을 때 ‘중국의 신화’를 떠올릴지도 모른다. 그 이유는 중국에는 수많은 신화들이 존재하며 그는 동화나 이야기처럼 신비롭게 전해 내려오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은 대륙의 자연을 담은 신화들에 대해 정리해 주겠다!
1. 반고

첫 번째로 소개 할 대륙의 자연을 담은 신화는 바로 ‘반고’에 대한 신화이다!
중국 신화 속 ‘반고’라는 인물은 중국의 자연을 탄생시킨 인물이자 세계를 탄생시킨 천지창조의 존재이자 세상 최초의 인간으로서 묘사되는 인물이다. 이러한 반고의 신화는 다음과 같다.
우주는 원래 알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었으며 그 안에서는 ‘반고’라는 존재가 1만 8천년 동안 자라나고 있었다. 그렇게 1만 8천년이라는 긴 시간을 우주라는 알 속에서 자라던 반고는 거인과 같이 몸집이 큰 존재였다. 또한 그 큰 몸집으로 알을 깨고 일어나 천지창조를 한 존재였다. 반고가 알을 깨고 나오면서 알 속의 어둡고, 무거운 존재는 아래로 내려가 땅이 되었으며 가볍고, 맑은 존재는 위로 올라가 하늘이 되었다. 그렇게 천지를 창조하게 된 반고는 2개의 뿔과 어금니를 가졌으며 털이 많은 생김새를 가지고 있었다.
그 후, 반고는 또 다시 1만 8천년이라는 시간 동안 땅과 하늘 사이에 서있었으며 그 사이 그의 키는 9만길까지 커버려 하늘과 땅이 다시 만나는 일은 없게 되었으며 1만 8천년이라는 시간이 지난 후 반고는 죽었다. 그렇게 천지를 창조한 최초의 인간이었던 반고는 죽으면서 그의 숨결은 바람과 구름으로, 목소리는 천둥으로 다시 탄생되었으며 반고의 왼쪽 눈은 태양이 오른쪽 눈은 달이 되었다. 또한 반고의 몸은 산이 되었으며 그의 피는 강물로, 그의 핏줄은 길로 났다. 그 외에도 죽은 반고의 몸은 밤하늘의 별과 대지의 논, 풀, 나무 등으로 다시 탄생되면서 ‘반고’라는 존재는 생명의 원천이 되었다.
2. 염제

두 번째로 소개 할 대륙의 자연을 담은 신화는 바로 ‘염제’에 대한 신화이다!
중국 신화 속 ‘염제’라는 인물은 인간의 몸과 소의 머리를 가진 형상으로 태어난 불과 태양을 담은 신이자 중국 신화에 나오는 삼황 중 2번째 황제이다. 또한 염제는 사람들에게 ‘신농’이라고도 불리었는데 그 이유는 바로 염제가 불과 태양을 담은 신이자 황제임과 동시에 농업을 담당한 신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염제를 묘사할 때 많은 사람들은 그의 한손에는 이삭을, 또 다른 손에는 ‘자편’이라는 붉은 채찍을 쥐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하는데 이때 ‘자편’이라는 붉은 채찍은 풀의 독성 유무와 특징 등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물건이었다고 한다. 이러한 염제는 중국을 농경사회로 만든 장본인으로서 농업을 만들고, 백성들에게 농업을 가르친 인물이다. 그는 불을 사용하여 농사를 지을 수 있는 토지를 만드는 법을 백성들에게 가르쳤으며 직접 총 365개의 약초들에 대해 탐구한 후 기록하여 널리 알려 그것은 후대의 식물 의학의 기초가 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염제는 중국에서 물건을 사고 파는 ‘시장’을 연 장본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렇듯 염제는 중국의 불과 태양, 농업의 신이자 백성들의 삶의 기반을 닦아 준 인물이다.
3. 희화와 상희

세 번째로 소개 할 대륙의 자연을 담은 신화는 바로 ‘희화’와 ‘상희’에 대한 신화이다!
중국 신화 속 ‘희화’라는 인물과 ‘상희’라는 인물은 동방의 ‘은’민족이 섬기던 하늘의 신, 천제 ‘제준’의 아내들이다. 이들은 각자 10명의 태양인 아들들과 12명의 달인 딸들을 낳았다.
이 중 희화의 10명의 태양인 아들들의 대한 신화가 유명한데 그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희화와 10명의 태양인 아들들은 동쪽 바다 밖 ‘탕곡’이란 곳에서 살았으며 10명의 태양인 아들들은 ‘부상’이라는 동쪽 바다의 해가 뜨기 시작하는 곳에 머물다가 한명씩 돌아가면서 나라를 비춘 후 서쪽의 ‘우연’이라는 연못에 내려 일과를 마치는 나날들을 보냈다. 또한 희화는 이들이 자신들의 할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직접 수레를 끌어 이들을 ‘현거’라는 곳까지 데려다 주면서 뒷바라지를 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희화의 아들들은 똑같은 나날이 따분하다고 느껴 희화의 수레에서 몰래 내렸다. 그리고는 10명의 태양인 아들들이 동시에 하늘에 떠올라 나라에 ‘가뭄’이라는 큰 재앙을 불러 일으켰다.
4. 반호

네 번째로 소개 할 대륙의 자연을 담은 신화는 바로 ‘반호’에 대한 신화이다!
중국 신화 속 ‘반호’에 대한 신화는 중국 남방 소수민족의 시조에 대한 신화이다. 그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때는 ‘고신왕’시절 고신왕의 부인은 귓병을 앓았다. 그 귓병의 원인은 누에와 같은 존재 때문이었다. 고신왕은 그 존재를 부인의 귀에서 빼내어 바가지에 담아 두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자 바가지 속 존재는 오색 빛깔을 가진 개가 되었고, 고신왕은 그 개를 ‘반호’라 불렀다.
시간이 지나 오랑캐가 쳐들어 온 적이 있었다. 당시 고신왕은 오랑캐 장수의 목을 가져오는 자에게는 돈과 공주를 주겠다고 하였고, 몇 일후 반호가 오랑캐 장수의 목을 물고 왔다. 그 모습을 본 고신왕은 깊은 고민에 잠겼다. 그때 반호가 사람의 말로 자신을 황금으로 된 종 안에 일주일동안 두면 사람이 될 것이라고 말하였다. 그 말을 들은 고신왕은 반호의 말대로 하였고, 공주는 반호가 걱정되어 일주일이 채 지나지도 않았을 때 그 종을 열어 버렸다. 그래서 반호는 몸은 사람이 되었으나 머리는 개의 형태를 한 채 공주와 결혼 하였으며 그들의 자손이 훗날 중국 남방 소수민족의 시조가 되었다.
5. 다섯 방향을 다스리는 신들

마지막으로 소개 할 대륙의 자연을 담은 신화는 바로 다섯 방향을 다스리는 신들에 대한 신화이다! 중국은 예로부터 동서남북과 그 중앙을 다스리는 다섯의 신이 있다고 믿었다. 지금부터 그 다섯 신들에 대한 이야기를 알아보자.
먼저 동방의 신은 ‘태호’이며 그는 곧 중국 신화의 ‘복희’라는 존재이다. 그리고 그를 보좌하는 자가 있었으니 그가 바로 그림쇠를 들고 봄을 다스리는 존재인 신인 ‘구망’이다. 또한 동방은 나무의 기운이 왕성한 곳이며 태양을 보내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여겨진다.
다음으로 서방의 신은 ‘소호’이며 그는 천상의 선녀인 황아와 금성의 신 사이의 자녀이다. 또한 소호를 보좌하는 신인은 소호의 아들 ‘욕수’이며 욕수는 곱자를 통해 가을을 다스리며 서방은 쇠의 기운이 왕성한 곳으로 여겨진다.
세 번째로 남방의 신은 ‘염제’이며 그는 ‘황제’와의 싸움에서 패한 후 남방의 신이 되었다. 또한 염제를 보좌하는 염제의 후손인 신인 ‘축융’이 저울을 들고 여름을 다스리며 남방은 불의 기운이 왕성한 곳으로 여겨진다.
네 번째로 북방의 신은 ‘전욱’이며 전욱은 황제의 증손자이자 서방의 신 소호의 조카이다. 그리고 전욱은 권위적이며 고약한 심성을 가진 인물로 알려지면서 북쪽의 기운이 좋지 않다는 미신이 생기기도 했다. 또한 그를 보좌하는 신인은 ‘현명’이며 현명은 저울추를 이용해 겨울을 다스렸다. 그리고 북방은 물의 기운이 왕성한 곳으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중앙의 신은 ‘황제’이며 황제는 중국인들이 중국 민족의 시조로 여기는 용의 자손이며 염제를 이기고 중앙의 신이 되어 사방을 진두지휘하였다. 또한 황제를 보좌하는 신인은 ‘후토’이다. 후토는 노끈을 들고 사방을 다스리는 역할을 하며 중앙은 흙의 기운이 왕성한 곳으로 여겨진다.
지금까지 ‘자연을 담은 대륙의 신화들’이란 주제로 중국 신화에 대해 알아보는 두 번째 시간을 가졌다. 오늘 알아 본 ‘자연을 담은 대륙의 신화들’이라는 중국의 신화들은 중국에서 자연을 어떻게 여기는지에 대한 가치관과 민족의 시조를 중요시 여긴다는 사실을 알게 해주며 시대의 발전과 신화가 함께 했다는 사실도 알게 해준다. 또한 ‘반호’와 같은 소수민족의 시조를 다룬 신화는 시간이 흘러 신화들이 섞이면서 소수민족을 조롱하듯이 사용된다는 사실에 우리를 안타깝게도 한다.
신화는 이와 같이 동화와 같은 신비함으로 사람들의 즐거움이 되기도 하며 교훈을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중요한 역사적 기록으로써의 가치도 지니고 있는 존재이다. 즉, 신화는 곧 사료가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사료를 통해 역사를 탐구하고 알아가야 할 것이며 왜곡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중국은 수많은 신화를 보유한 국가로써 그 신화들을 조상들의 소중한 유산으로 여기며 더 이상의 역사 왜곡은 하지 말아야 한다. 역사 왜곡을 멈추고 다양한 신화들을 소중히 다룬다면 중국의 신비롭고 다양한 신화들은 더욱 빛날 것이다.
위홍신 대학생 기자 wi6733@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