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식적 인원 맞추기 급급…장철민 지적

2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산업재해 관련 청문회에 GS건설 우무현(왼쪽부터), 포스코건설 한성희, 현대건설 이원우 대표가 참석했다. 연합뉴스
2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산업재해 관련 청문회에 GS건설 우무현(왼쪽부터), 포스코건설 한성희, 현대건설 이원우 대표가 증인으로 출석했다. 연합뉴스
[금강일보 최일 기자] 유수의 대형 건설사들조차 공사현장 안전관리에 매우 소홀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 동구)이 22일 환노위 주관 산업재해 청문회에 맞춰 고용노동부와 청문 대상 건설사들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대건설·GS건설·포스코건설 등의 안전관리자 가운데 정규직 비율은 평균 36%에 불과했다.

현대건설의 정규직 비율이 지난해 기준 32%로 세 기업 중 가장 낮았는데, 비정규직의 평균 경력은 1.6년, 평균 연령은 36세로 정규직(경력 11.1년, 평균 연령 43세)에 비해 매우 짧았다. GS건설의 경우 3년 미만 경력자가 28%를 차지했다. 임금 차이가 가장 큰 기업은 포스코건설로 계약직 임금이 정규직의 57.9% 수준이었다.

산업안전보건법(제17조)상 사업주는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관해 사업주 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에게 지도·조언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사업장에 꼭 두도록 명시하고 있다.

또 공사액 120억 원 이상(토목은 150억 원 이상)일 경우 안전관리자를 반드시 선임하도록 법 시행령에 규정돼 있다. 따라서 정규직과 비교해 경력과 임금 수준이 낮은 계약직을 64%나 안전관리자로 채용하는 데 대해 장 의원은 “형식적인 인원수 맞추기에 급급하다”라고 질타했다.

더욱이 산안법에서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금액을 책정하도록 한 ‘안전관리비’ 항목에서 인건비를 지출할 수 있어 30% 이상이 인건비로 쓰이고 있다. 산재 예방과 노동자 안전에 쓰여야 할 관리비가 형식적 인력의 인건비로 낭비되고 있는 셈이라고 장 의원은 주장했다.

장 의원은 “대기업에서부터 안전관리자의 정규직 비율을 늘리고 전문 역량을 강화한다면 사업장 전반의 위험 요소를 더 꼼꼼히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안전관리자의 전문성을 키워 산재 예방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최 일 기자 choil@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