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교육연구소장

[금강일보] 평소 자신을 강하다고 여기고 있던 자로는 어느 날 스승인 공자에게 여쭈었다. “어떻게 하는 것이 강한 것입니까?”
강(强)에 대한 공자의 답을 공감해 보기로 한다.
▲ 내려 놓자, 그러나 중심은 잃지 말라
공자께서는 “화합하면서도 흐르지 말라(和而不流) 이것이 강(强)이다.” 하셨다. 뜻을 풀이해 보면, 여러 사람과 화합하되 자신의 정체성 즉 중심과 원칙을 저버리고 휩쓸리지 말라는 것이다.
화합은 인간관계를 굳게 다지는 강한 힘이요, 인간 사회의 으뜸 덕목이다. 화합하려면 내 자신을 내려놓고 눈높이를 상대에게 맞추어야 한다. 그렇다고 자신의 정체성인 중심과 원칙을 내려 놓으라는 것은 아니다. 화합하더라도 자신의 중심과 원칙은 굳건히 지키라는 것이다. 그래서 공자께서는 화합하되 흐르지 말라(和而不流) 즉, 화합하되 자신의 중심을 휩쓸리지 말라 하신 것이다.
예를 들어, 내가 믿고 있는 종교로 인해 화합을 깨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그렇다고 화합 분위기에 휩쓸려 종교를 버리는 일이 있어서도 안 된다. 종교는 나의 정체성 즉 내가 지켜야 할 중심이요 원칙이기 때문이다.
그렇다, 화합을 위해서 과감히 내 자신과 이익을 내려 놓자. 화합 속에서도 나의 중심과 원칙을 잃지 말자. 이것이 강(强)이 아니겠는가.
▲ 자신을 이김, 강(强) 중 강(强)이다
노자는 ‘남을 이기는 자는 힘이 센 사람이라 하겠으나, 자신을 이기는 자야말로 강한 사람이다(勝人者有力 自勝者强).’라고 말했다. 성경 잠언에는 ‘강한 사람이 누구냐? 감정을 누를 수 있는 사람이다.’라 하였고, 공자는 ‘자기 자신의 삿된 욕망과 감정을 극복하고 예(禮)로 돌아가는 것이 인(仁)이다(克己復禮爲仁)’라 하셨다.
이 세 말씀은 하나 같이 자기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기는 자승(自勝)이 강(强) 중 강(强)이라는 것이다.
운동선수가 경기에서 이기려면 먼저 자기와의 싸움에서 이겨야 한다. 자승(自勝)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어떤 성공도 역경과 시련에 맞서 싸워 이기는 자승 없이는 성취될 수 없다.
나태(懶怠) 즉 게으른 습관은 동물적 본능으로서 누구나 지니고 있다. 인생 성공의 적은 게으름이다. 따라서 자신의 게으른 습관과 싸워 이기는 자승이 되지 않으면 즉 근면하지 않으면 어떤 인생 성공도 이룰 수 없다.
공인이나 사회 지도자가 돈, 색, 권력의 욕망과 싸워 이기는 자승 없이는 존경과 명예를 지킬 수 없다.
그렇다. 자기와의 싸움에서 이기는 자승이야말로 강(强) 중 강(强)이요, 그런 사람은 강자(强者) 중 강자(强者)라 하겠다. 그러므로 성공인생을 산 그들 모두는 강자 중의 강자가 아니겠는가.
▲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
노자는 스승 ‘상종’에게 “부드럽고 약한 것이 강하고, 단단한 것을 이긴다 했는데 그 말이 무슨 뜻입니까?”라고 묻자 스승은 아무 말 하지 않고 입을 열어 혀만 날름거렸다. 스승의 이런 행동을 보고 노자는 깨달았다. 이(齒)는 몸에서 제일 단단한 부분이고 혀(舌)는 몸에서 가장 부드러운 부분이다. 스승이 늙어 이가 빠져 없지만 부드러운 혀는 지금까지 남아 말을 할 수 있으니 이것이 바로 부드럽고 약한 것이 딱딱하고 강한 것을 이긴다는 이치가 아니겠는가 하고 깨달았다 한다.
그렇다. 유능제강(柔能制剛)이라 했다.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는 것이다.
▲ 부드러움, 생명의 길이다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는 이치를 몇 가지 살펴보겠다. 리더십에 있어서 대화와 설득, 솔선수범으로 이끄는 부드러움의 리더십은 힘과 명령으로 밀어 붙이는 강함의 리더십을 이긴다. 그래서 부드러움의 리더십 장수 이순신은 승장이 되었고 힘의 리더십 장수 원균은 패장이 되지 않았는가.
생명이 충만할수록 신체가 부드럽고 유연하나 죽음에 가까울수록 굳어지고 뻣뻣해진다. 부드럽고 유연했던 나무나 풀도 죽게 될 때는 뻣뻣해진다. 이처럼 부드러움은 삶의 무리요 굳어짐은 죽음의 무리인 것이 자연 이치다.
그렇다. 나이가 들수록 건강관리로써 점점 굳어지는 몸을 유연하게 해야한다. 나이가 먹을수록 정신관리로써 점점 굳어지는 정신, 생각을 유연하게 해야 한다. 언제나 부드러워지도록 유연해지도록 해야 한다. 그것이 생명의 길이다.
▲ 외유내강인 물 같아야 한다
이 세상에 물보다 더 부드러운 것이 있으랴. 네모난 통에 들어가면 네모가 되고 둥근 통에 들어가면 둥글게 되지 않는가.
또 한편으로는 시멘트는 물로 인해 단단한 콘크리트가 되고 밀가루도 물로 인해 단단한 반죽이 되고 비온 뒤에 땅이 굳어지는 것은 물의 부드러움 속에 감춰진 강한 본성 때문이다. 그래서 물은 겉이 부드러우면서 속이 강한 외유내강(外柔內剛)이 아니겠는가.
그렇다, 사람도 물과 같이 겉은 부드럽고 온화하되 속은 강한 물의 속성처럼 강인함을 지녀야 한다. 외유내강(外柔內剛) 해야 한다. 이것이 진정으로 강한 사람이 아니겠는가!
<인문학교육연구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