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잿값·에너지·물류비·배달택배비·금리 등 상승세
당분간 방역완화 없어 서민·中企·자영업 총체적 난국

연합뉴스
연합뉴스

[금강일보 정은한 기자] 충청경제의 회복을 바랐건만 당분간 침체 현상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방역 완화가 없는 가운데 자금난을 옥죄는 각종 인상 기조가 더해져서다. 이에 지역 소상공인들은 물론 기업가들과 직장인 등 다양한 곳에서 볼멘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전국을 비롯한 충청경제는 원가 상승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을 곤혹스럽게 하는 것은 원자잿값·물류비·에너지값 고공행진이다. 국제 원자재 가격지수인 CRB지수는 지난 2020년 4월 107.5포인트였으나 이달 2일 기준 256.3포인트까지 뛰었다. 해운물류비의 바로미터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해 말 20피트 컨테이너 1개당 424달러를 기록하며 강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올해도 5000대 포인트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국제 에너지 가격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는 2일 기준 배럴당 88.20포인트로 지난 3년간 최고치다. 이에 따라 1월 무역수지는 48억 9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2008년 1월 40억 4000만 달러를 넘어선 역대 최대 규모다. 대전 중소기업계 관계자는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기는 했지만 역대 최고의 실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각종 원가 상승 때문에 무역수지가 악화되는 있어 합당한 납품단가를 받지 못하는 충청권 중소기업들은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며 “이로 인한 원가 상승은 자영업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그렇다고 고물가를 잡기 위해 미국을 비롯한 각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기준금리도 인상 흐름을 보이고 있다. 세계 기축통화인 미 달러는 3월 기준금리 0.5% 인상이 점쳐지며 글로벌 시중은행들의 금리 상승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한국 기준금리도 환율 방어 차 이미 1.25%까지 오른 가운데 연내 1.75~2%까지 인상될 것으로 예고된다.

대전상권발전위원회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은 지역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중소기업과 자영업이 그동안 받은 대출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또 기준금리 인상을 통해 부동산·주식 과열과 고물가를 잡는다지만 소비가 침체될 가능성이 커 코로나19 난국이 강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자영업계는 택배·배달업계의 요금 인상 요구가 추가적인 원가 상승을 유도할 것이라고 내다본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지 않을 방침이다. 소비 침체에 영향을 주는 백신패스도 갑론을박이 지속되고 있다. 지역 의료계는 앞으로 5~8주가량 바이러스 확산 기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혹여 또 다른 변이 바이러스가 발생할 시에는 방역 강화될 수밖에 없다.

더불어 높은 부동산 가격에 압박받는 서민들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주식·암호화폐 투자처 또한 잃어 소비를 줄이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직장인 임 모(34·대전 동구) 씨는 “경제가 호전될 것이라는 전망이 없어 선뜻 소비에 나설 수 없다. 기준금리도 인상되는 만큼 당분간은 저축에 힘쓸 계획이다”고 말했다.

정은한 기자 padeuk@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