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외 우정사업본부·롯데·한진·로젠택배 참여
충청대리점·비노조 “파업 늘면 피해 늘어날 수밖에 없다”

[금강일보 정은한 기자] 지난해 말부터 진행 중인 CJ대한통운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충청권 택배업계서도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21일부터는 파업 택배사가 늘어날 예정이라 피해가 확산될 전망이다.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 CJ대한통운 본부는 지난해 12월 28일부로 파업을 시작했다. CJ대한통운 전체 택배기사 2만 명 중 10% 인 2000여 명이 택배노조원인 가운데 초반엔 1650여 명이 파업에 동참했다. 현재는 450여 명이 배달을 거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달 10일부터는 노조원 200여 명이 본사를 기습 점거 중이다.
택배노조는 정부 중재로 이뤄낸 사회적 합의안을 조속히 이행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사측이 사회적 합의 이행 비용 170원 중 56원만 사용해 부당하게 편취한 수익만 약 3000억 원에 달한다고 판단해서다. 부속합의서에 담긴 ‘주 60시간 이내 당일배송’, ‘주6일제’ 등의 독소조항 삭제도 요구 중이다. 반면 사측은 인상분의 50%를 기사 수수료로 배분해 지난해 택배부문 영업이익은 노조가 주장한 금액의 60% 수준인 1983억 원이라고 해명했다. 택배기사의 분류업무를 줄이기 위해 도입된 택배자동분류기 ‘휠 소터’ 등 장비투자 비용과 분류인력 고용 등의 비용도 상당한 만큼 택배노조의 양보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비교적 피해가 덜했던 충청권은 긴장하고 있다. 택배노조가 오는 21일부터 우정사업본부를 비롯해 롯데·한진·로젠택배 노조원까지 참가하는 전국택배노동자대회를 예고해서다. 이들은 투쟁 규모와 수위를 높여 정부의 중재를 통해 사측을 움직일 계산이다.
CJ대한통운 대전북구대리점 관계자는 “대전은 관평동에 노조원이 1명 있고, 충남 서산은 절반 정도가 노조원이지만 나머지 지역은 노조원이 거의 없다. 배송받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반대로 노조원이 많은 경기도 성남, 경북 울산, 광주지역으로 배송 문제가 있어 고객 이탈로 인한 피해가 감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성남·울산·광주지역에 노조원이 많은 것은 전통적으로 민주노총의 영향력이 큰 지역이라서다.
하지만 오는 21일부터 택배 파업이 확산되면 충청권도 피해가 커질 수밖에 없다. 충남의 CJ대한통운 소속 비노조 기사는 “현재 노조원이 많은 성남과 울산은 CJ대한통운뿐 아니라 우체국 등 타 택배사 노조원도 이미 파업에 참여하고 있다. 이 지역으로 보내는 택배 물량이 감소해 전국 비노조 택배기사들의 수입 타격이 발생하고 있다”며 “파업이 타 택배사 노조까지 번질 경우에는 거점이 무너져 충청권을 오가는 택배 물량이 급감할 수밖에 없다. 다른 택배사보다 수입이 1.5배 정도 많은 CJ대한통운이 불만을 제기하다 보니 파업이 확산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라고 긴장했다.
정은한 기자 padeuk@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