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 "체감 못하는 통계"
물가상승에 생활비 지출↑
소득 양극화 해결책 촉구

사진=연합
사진=연합

[금강일보 박정환 기자] 지난해 국내 가계소득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으나 시민들의 반응엔 의문부호가 붙고 있다. 물가상승에 생활비 지출이 늘고 일자리 불균형 심화로 소득 양극화가 더욱 심화된 상태여서다.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모든 계층에서 전반적으로 소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5만 8000원으로 전년동기(97만 7000원) 대비 8.3% 증가했다. 1분위 가구 근로소득은 26만 2000원으로 전년보다 17.1% 늘었다. 사업소득도 14만 2000원으로 7.0% 증가했다.

이전 소득은 63만 4000원으로 5.2% 증가했다. 공적 이전 소득은 46만 2000원으로 전년보다 9.0% 늘었으나 사적 이전 소득은 17만 2000원으로 3.9% 줄었다. 분위(소득 하위 40%) 월평균 소득은 253만 1000원으로 전년보다 6.0% 늘었고, 3분위(소득 상위 60%) 소득도 387만 9000원으로 6.9% 증가했다. 4분위(소득 상위 40%)는 561만 2000원, 5분위(소득 상위 20%)는 1013만 원으로 각각 5.4%, 6.9% 늘었다.

이처럼 소득이 늘어난 것은 고용 회복세와 함께 백신 접종 확대로 11월부터 단계적 일상회복이 진행되는 등 일시적으로 내수 경기가 살아난 점이 영향을 미쳤다는 게 정부의 분석이다. 또 고용이 늘어난 것도 가계소득 수치가 소폭 상승한 요인 중 하나다. 지난해 임시직근로자는 14만 8000명 증가했고 자영업 업황 회복과 함께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도 4만 1000명 늘어난 영향으로 1분위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확대됐다.

하지만 시민들은 아리송한 반응을 보인다. 유례없는 물가상승이 지속되면서 수익의 대부분이 생활비로 빠져나가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 속 소득 증가가 체감되지 않기 때문이다.

직장인 이 모(35·대전 중구) 씨는 ”소득 집계가 어떻게 이뤄졌는지 모르겠다. 체감 급여는 제자리인데 공공요금부터 식료품값까지 오르지 않은 게 없는 만큼 말이 안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경영난 악화와 고용 절벽 사이에 놓인 자영업자들도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이종성(52·여·대전 동구) 씨는 ”매출 타격이 심화되면서 고용원을 뽑지 못해 줄어든 급여를 왜 사업소득에 포함시킨 지 모르겠다. 자영업 부채 등을 포함하면 수치가 더 처참해질 것 같다. 현실과 동떨어진 정부 집계를 볼 때마다 자영업자들의 한숨과 분노만 커진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양극화 해결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코로나19로 산업과 일자리 시스템에 변화가 찾아올 수 있는 만큼 필수 부문 공공일자리 확대, 직업훈련 훈련비 등 지원 강화 등이 필요할 것 같다”며 “산업체의 경우 경기 불확실성 요소에 대한 지원책 마련으로 경기 활력 제고 방안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정환 기자 pjh@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