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세연, 대전·세종 산업융합클러스터 조성 제안
K스타트업 허브 구축 통한 초광역 경제 이득 ↑

[금강일보 정은한 기자] 신산업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화되자 대전·세종이 산업융합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대전세종연구원은 ‘대전·세종산업융합클러스터 조성 방안 연구’ 보고서를 통해 공동 발전방향을 제시했다. 두 도시의 산업경제에 위기가 감지돼서다. 지난 2019년 말 기준 대전의 지역 내 총생산(GRDP)은 약 43조 1000억 원으로 전국 비중 2.24%, 세종은 약 11조 9000억 원으로 전국 비중 0.62%에 불과했다. 두 지역의 총 생산을 모두 합쳐도 전국 대비 비중이 3%에도 못 미치는 데다가 1인당 GRDP(대전 2856만 원 ,세종 3580만 원)도 전국 평균에 미달했다.
하지만 산업구조가 다르다는 것이 돌파구다. 대전의 강점은 지식생태계다. 2019년 기준 연구개발비가 전국 대비 8.7%, 연구인력이 7.5%인 데다 지식재산권 등록 비중도 전국 대비 4%를 차지한다. 더불어 차세대무선통신융합산업, 지능형로봇산업, 바이오메디컬산업이 주력산업이다.
반면 세종은 스마트 전략소재·부품,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우위를 보인다. 산업 수요가 증가할 때마다 두 도시 간에 산출 파급효과가 유출되는 현상도 크지 않다. 또 세종의 경제활동인구의 12.5%가 대전으로 통근하고 있다는 점도 부정적이진 않다. 대전의 노동 수요 자급률이 3년 사이 94.2%서 92.5% 떨어지긴 했지만 역설적으로 노동 의존 증가는 초광역경제권 조성을 지지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문제는 기업활동의 공간적 범위와 행정구역의 불일치를 얼마나 해소하느냐에 달렸다. 미국의 세 도시를 묶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클러스터로 성장한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RTP)의 추진 사례를 참고해야 한다는 게 대전세종연구원의 분석이다. 만약 양 자치단체가 힘을 합친다면 대기업 유치·벤처육성을 통한 좋은 일자리 생성, 공동 캠퍼스 구축을 통한 인재 확보, 기술개발·사업화·창업을 통한 선순환 안착 등을 이뤄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나아가 디지털헬스케어, 로봇 클러스터, 전력 및 신재생에너지 혁신 클러스터, K-스타트업 허브 구축 등 산업융합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초광역경제권을 형성하면 경제적 이득과 동시에 국가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계산도 제시했다.
정은한 기자 padeuk@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