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상승 등 장기화시 인상압박 가중될 것
中企 “전기료 올라 소비침체·내수경색 심화될라”

[금강일보 박정환 기자] 세계적인 공급망 경색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원자재 값이 요동치면서 올해 공공요금이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전력이 현재역대급 적자를 이어가고 있는 만큼 유가 상승이 지속될 경우 전기료 인상 임계점을 넘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지역 중소기업들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 등 서방이 반도체를 비롯한 하이테크 제품 등의 대(對) 러시아 수출 제한 조치에 더해 러시아산 원유까지 본격 제재를 할 경우 글로벌 공급 차질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직까지는 자국과 동맹이 입을 피해가 클 수 있다는 점을 고려, 러시아산 원유는 제재 대상에서는 제외한 상태다.
러시아산 원유를 제외한 국제 유가는 널뛰고 있다. 두바이유 가격은 지난 2월 넷째주 기준 배럴당 평균 95달러로 고공행진을 이어오고 있다. 전주(92.1달러)보다 3.1% 올랐다. 브렌트유는 지난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작전을 선포한 직후 장중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섰다.
일각에선 불똥이 전기료 등 공공요금으로 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국제유가, 액화천연가스(LNG) 등 연료비 상승이 단기간에 끝나지 않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사태로 에너지원자재 수급 불안정성이 더욱 커진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한전의 전력 구입가격도 갈수록 비싸져 올해는 10조 원이 넘는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한국전력 관계자는 “글로벌 에너지원자재 수급난이 장기화되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현재 전기료 조정 등에 대한 계획은 없으며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탈(脫)원전·탈석탄 정책에 탄소중립 정책까지 더해지면서 앞으로 발전 단가가 저렴한 원자력과 석탄화력 발전의 비중이 줄고 단가가 비싼 LNG 발전과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높아질 경우 발전업계의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현재 정부는 전기료 인상을 4월과 10월로 뒤로 미룬 상태나 업계에서는 이 두차례의 인상도 적자폭을 메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대전의 한 발전업계 관계자는 “일부 산업 부문 경기가 소폭 회복세를 보이고 전력 수요가 점차 늘어날 가능성이 큰 반면 발전업계와 한전의 발전 원가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지난해 전기료를 동결해 누적 피해를 입은 상태인데 올해 두차례 인상을 하더라도 물가만 건드려 큰 효과를 얻지 못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소상공인들은 노심초사하고 있다. 정부가 계획한 4월과 10월 인상 외 추가적인 인상이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거다.
장수현 대전상권발전위원회장은 “예고된대로 4월과 10월 전기료가 인상되면 소상공인 경영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공공요금 인상으로 소비물가가 올라 내수침체가 심화될 게 뻔하다. 정부는 소상공인들의 충격 완화를 위한 대책 마련도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정환 기자 pjh@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