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내원객-키트 양성 확인자 한 곳에
신속항원검사 동네병원 N차감염 우려
보건당국 분리 지침 없어 불안감 키워

코로나19 신규확진자 수가 40만 명을 넘어선 16일 오전 코로나19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으로 지정된 서울 시내의 한 병원이 신속항원검사 및 PCR검사를 받으러 온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신규확진자 수가 40만 명을 넘어선 16일 오전 코로나19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으로 지정된 서울 시내의 한 병원이 신속항원검사 및 PCR검사를 받으러 온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금강일보 김미진 기자] #1. “산모에게도 위험하지만 말도 못하는 아이가 감염되면 누구 책임이죠?” 16일 대전 소재 한 산부인과에서 만난 A 씨의 한숨섞인 한마디다. 해당 병원은 정부가 지정한 신속항원검사 가능 병원이다. 규모가 있는 만큼 많은 내원객들이 대기하고 있었다. 면역력이 취약한 임산부나 신생아들이 있기 때문에 손소독과 체온확인 등 나름의 방역지침을 철저히 하고 있었지만 일반 내원객과 신속항원검사를 원하는 시민을 따로 분류하고 있지 않았다. 심지어 한쪽에서 대기 중이던 B씨는 양성반응이 나온 자가검사키트를 밀봉해 가져온 상태였다.

#2. 최근 출산을 한 C 씨는 코로나 예방접종 완료를 위해 대전 둔산동의 한 동네병원을 방문했다 당황했다. 자가검사키트서 두 줄이 나온 진료자들이 신속항원검사를 위해 방문했지만 소아진료자, 예방접종자가 모두 한 자리에 그대로 대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더욱 감당하기 힘들었던 점은 확진자로 의심대는 환자가 C 씨의 앞에서 구토까지 하면서 방역 시스템에 대한 의구심이 들 수 밖에 없었다. C 씨는 “확진자가 많아지는 이유가 감기처럼 생각해야 되는 건지, 방역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건지 잘 모르겠다”며 “동네병원에선 아무런 시스템이 없다. 확진의심자들과 소아, 성인 모두가 함께 있는데 예방접종 하러와서 확진자가 돼서 나가는 거 아닌지 두렵다. 나는 감염돼도 괜찮지만 집에 있는 100일 된 아기는 어떻게 해야되는 거죠? 치료는 해주나요?”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신속항원 검사 시스템으로 인해 오히려 N차 감염이 우려되고 있다. 위 사례들처럼 무작위로 찾아간 신속항원검사 가능 병원 5곳 모두가 확진 의심자와 일반 내원객을 분리하지 않고 한 공간에서 대기하게 했다. 여러 신속항원검사 가능 지정 병원을 돌아다니며 이에 대한 질문을 던졌지만 모든 병원 관계자들은 잘 모르겠다는 대답만 했다. 신속항원 검사 시스템으로 인해 N차 감염의 우려가 커질 수 밖에 없는 배경이다.

특히 정부가 지난 14일부터 코로나19 검사 체계를 바꿔 동네병원에서 신속항원검사 결과를 PCR 검사 결과와 동일시 한다고 발표하면서 더욱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는 게 지역 의료계 관계자들의 귀띔이다.

이에 동네병원을 중심으로 N차 감염이 이뤄지진 않을까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신속항원검사가 가능한 곳에 산부인과뿐 아니라 소아과도 포함돼 있어 부모들의 걱정은 커지고 있다.

대전시의사회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확진자도 너무 많아지고 일반 환자도 많다보니 병원도 한계가 오고 있다”며 “안타깝게도 동네병원 내에서 방문자들을 분리해야 한다는 지침은 아직 없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상황에 동네병원 중심의 의료체계는 물론 정부의 감염병 컨트롤타워 운영 방식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방역 지침에 대한 정부의 홍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뿐만 아니라 시시각각으로 지침을 바꾸는 '임기응변'식 정책으로 인해 오히려 확진자가 더 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정부는 지난 14일 오미크론 특성에 따라 동네병의원 중심으로 전환된 코로나19 검사 및 재택치료체계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평가한 바 있다.

김미진 기자 kmj0044@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