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기존 사업 효과 분석 중
곧 2차 공모 예상만 벌써 6년째
市 건립 위한 근거 최대한 확보

<속보>=대전시민안전체험관이 여전히 답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체험관 설립 관련 지원 대상사업 선정마저 기약 없어 지역민들은 체계적인 안전체험 교육에서 소외를 겪고 있다.<본보 2021년 2월 24일자 7면 등 보도>
1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민안전체험관은 지난 2016년 당시 국민안전처 주관으로 충북과 서울, 인천, 울산 등 8개 지역에 건립됐다. 화재와 교통사고, 지진, 태풍 등 자연재해와 소방시설의 작동법, 심폐소생술을 비롯한 응급처치 등을 배울 수 있다. 각종 재난을 직접 체험하면서 위급 시 대처하는 법을 익혀 시민의 재난 대응능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현재 정부는 1차 소방안전교부세 특수수요 지원 대상에 들어선 각 지역의 시민안전체험관에 대한 성과와 안전체험 교육 등의 효과 등을 조사하고 있다. 이후 2차 선정을 추진할 예정으로 1차 선정 당시 설립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대전은 조만간 시작될 공모를 준비하고 있다. 광역자치단체 중 대전에만 대형안전체험 교육 시설이 전무해서다. 대구와 부산도 1차 선정에서 배제됐지만 대신할 대규모 안전체험관을 운영하고 있다. 대전에도 119시민체험센터가 있으나 시민안전체험관에 비하면 규모가 턱없이 작아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시는 2차 선정 대상에 포함되기 위해 시민안전체험관을 설립할 수 있는 각종 당위성을 이미 확보했다. 지난 2019년 관련 용역을 추진해 건립 필요성을 입증했고 접근성 향상을 위해 체험관 입지를 하소동 산업단지에서 유성도서관 일원으로 변경했다. 그러나 정작 행정안전부는 2차 선정을 위한 작업을 시작하지 않고 있다. 행안부는 1차 지원 사업을 통해 체험관 관련 국비를 지원하며 곧장 2차 사업을 속행할 계획이었으나 6년이 지나도 사업 공모 소식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대전시민안전체험관 건립의 발이 묶인 사이 첩첩산중으로 정권 교체에 따라 개각이 이뤄져 2차 선정을 위한 세부적인 일정이 내부에서 조율되지 못 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시는 2차 선정을 위한 공모를 기다리면서 이미 확보한 당위성의 완성도를 최대한 높여갈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행안부의 공모를 기다리고 있다. 시민의 안전보다 중요한 게 없기에 시민안전체험관의 건립은 의미가 상당히 크다. 행안부의 사업 재개가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라고 말했다.
신익규 기자 sig260@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