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선교 180돌 기념 세미나 선교사업적 발굴·재조명해 관광콘텐츠 활용 계기 마련

보령시는 우리나라 최초로 개신교가 선교됐던 보령의 외딴섬 ‘고대도’를 기독교 순례지로 개발,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지난 23일 보령시와 충남문화산업진흥원(원장 설기환)은 보령문화예술회관에서 칼 귀츨라프(Karl Friedrich August Gutzlaff·1803~1851) 선교 180주년을 기념한 세미나를 개최하고 선교사의 업적발굴과 재조명을 통해 관광개발의 주요 콘텐츠를 활용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개신교를 전해야 한다는 확신으로 선교여행을 떠난 독일인 칼 귀츨라프는 뱃길을 따라 외연도-녹도-불모도-고대도 순으로 항해를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귀츨라프가 8월 12일 고대도를 떠날 때까지 이곳를 기점으로 근처 도서와 내륙까지 선교활동을 벌인 곳으로 한국 선교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 섬이다.
귀츨라프는 고대도를 중심으로 펼친 선교 활동이 문화적 중개활동으로 이어졌다. 귀츨라프가 조선 선교 후 배운 한글을 1832년 11월에 ‘중국의 보고(The Chinese Repository)’라는 잡지에 소논문 형태로 발표하면서 한글을 세계에 첫 번째로 소개한 문화적 중개자 역할도 수행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이상규 고신대 교수는 “귀츨라프가 고대도에서 체류하면서 한문으로 번역된 두 권의 성경과 전도책자로 추정되는 26종의 도리서를 순조에서 전달했으며, 이때 주기도문을 한글로 번역, 선교했던 것이 한국과 개신교와의 최초의 접촉이었다”고 말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김영준 연구원은 섬 관광의 현재와 활성화 방안이란 주제 발표에서 “섬 관광자원화 과정 초기에 섬의 특성을 살리면서 관광시장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적정 계획 및 관리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며 “종교 문화의 창의적 콘텐트와 테마를 발굴, 유인력 있는 체험 관광상품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국보 제8호인 보령 성주사 지낭혜화상탑비를 비롯, 사적 제501호 충청수영성, 김좌진 장군묘 등 다양한 문화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에 만족하지 않고 시가 최초 개신교 선교지인 ‘고대도’를 또 하나의 역사적 자원으로 관광자원화를 시도하는 등 문화콘텐츠를 넓혀가고 있다”고 말했다.
보령=김성윤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