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비·금융비용 늘어 2분기 당기순손실 630%↑
고물가 의식한 정부 “10월 추가 인상 없을 것”
제조업계 “납품단가연동제 안착이 우선이다”

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한국전력이 올 2분기 사상 최대 영업손실을 기록하면서 전기요금 재인상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고물가 탓에 10월 인상은 비껴갈 가능성이 크나 충청제조업계는 여전히 긴장하고 있다.

17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전의 2분기 매출액은 15조 528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2% 증가했다. 영업손실만 6조 5163억 원으로 765.5% 늘었으며, 당기순손실도 630% 오른 4조 8358억 원에 달했다. 이로써 상반기 한전 실적은 역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요금 조정에도 불구하고 상반기 한전 매출액은 31조 992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한 데 그친 반면, 연료비·전력구입비·기타영업비용이 포함된 영업비용이 46조 2954억 원으로 무려 60%나 상승해서다. 상반기 영업손실도 14조 3033억 원으로 763% 늘어났다.

주목해야 할 건 2분기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의 급상승이다. 우선 영업손실은 매출 대비 채산성이 악화된 것을 뜻하는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원유·석탄가격이 급등한 결과다.

그만큼 한전이 발전사로부터 전기를 구매하는 전력시장가격(SMP)은 지난해 상반기 78.0원에서 올해 169.3원으로 117.1% 뛰었다. 덩달아 전력구입비도 18조 9969억 원으로 지난해 9조 3094억 원보다 104% 늘었다.

물론 한전도 전기요금 인상으로 맞대응했다. 지난 4월 ㎾h당 전력량 요금을 4.9원, 기후환경요금을 2원 인상했다. 다만 연료비 조정요금 단가를 3원 인상하려고 했으나 정부가 유보했다. 당시 한전은 전기 생산에 필요한 석탄·LNG·벙커C유의 가격 상승을 고려할 때 33.8원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한전의 당기순손실 증가는 차입금 부담이 커졌다는 것을 뜻한다. 차입금 의존도가 지난 2017년 21.4%서 지난해 33.9%로 증가한 데다가 기준금리 인상으로 금융비용이 증가한 결과다. 이에 한전은 3분기 조정요금 단가를 5원 인상하기로 확정했다.

실제로 추가 인상될지는 미지수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8일 “(고물가로) 민생이 어렵기 때문에 (전기요금) 인상률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선을 그어서다. 그럼에도 충청권 제조기업들은 긴장한다. 대전·충남 중소기업게 관계자는 “상반기 우리지역 공장가동률이 전년보다 4% 오른 시점에서 전기요금이 오르면 에너지 원가 부담도 커지게 된다.

일단 정부가 재인상은 없다고 했지만 한전 적자가 워낙 크고 글로벌 연료수급 변수가 있어 정부 가이드라인이 언제고 바뀔 수 있을 것”이라며 “내달 시범운영되는 납품단가연동제가 안착할 때까지는 급격한 전기요금 상승이 없기를 바란다”고 주문했다.

정은한 기자 padeuk@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