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0일 대중국 수출 11.2%↓, 6억 7000만달러 적자
칩4동맹과 미국 전기차 규제에 충남자동차 악재

원자잿값과 환율 악재에 시달리는 충청권 중소기업에 대중국 무역적자까지 겹쳤다. 격화되는 미·중 무역분쟁 시국이라서 더욱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관세청이 발표한 ‘8월 1~20일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수출액은 334억 24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9% 증가했다. 반면 수입액은 436억 4100만 달러로 22.1% 늘었다. 무역적자만 102억 달러다. 지난 4월 이후 다섯 달 연속 ‘마이너스’ 실적이다. 이는 2007년 12월~2008년 4월 이후 14년여 만으로, 올해 누적 무역적자 규모도 254억 7000만 달러(약 34조1000억 원)에 달한다. 연간 최대 적자였던 1996년 206억 달러를 이미 넘어섰다.
특히 대중국 무역적자가 상당하다. 지난 1~20일 대중국 수출조차 전년동기대비 11.2% 줄어든 역성장을 나타내서다. 적자만 6억 7000만 달러다. 이는 코로나19 봉쇄로 인한 중국 경기 둔화와 수출 부진, 수입 공급망 편중에 기인한다. 이에 따라 전국 대중국 수출 2위를 차지하는 충남도에도 위기가 가중되고 있다. 지난 2020년 기준 대중국 수출액이 126억 달러(29.5%)로 전년 대비 4억 9000만 달러나 줄었는데, 그 규모가 대거 커질 것으로 분석된다.
2020년 기준 충남의 대중국 수입액 역시 전국 5위 규모인 21억 달러(13.6%)로 대중국 원부자재 공급난으로 인한 생산 가동과 고용 타격이 거세지고 있다. 충남의 무역수지가 악화할수록 충청권 내수와 서비스산업을 지탱하는 수출 달러가 감소함으로써 경기 침체가 깊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격화되는 미·중 무역분쟁은 최악의 변수다. 이미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고자 칩 4동맹을 강압하고 있어 중국에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 후공정 등의 비중을 낮춰야 하는 상황이다. 물론 우리 정부는 미국에 대중 수출규제는 담지 않도록 미국을 설득할 방침이나 미국의 양보가 쉽지 않아 칩 4동맹에 따른 반도체 외 국내 기타 산업에 대한 중국정부의 압박이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또 한국산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을 제외시킨 미국 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 역시 충남 자동차산업을 옥죈다. 중국산 핵심광물과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를 공제 대상에서 제외하고, 일정 비율 이상 미국에서 제조된 배터리와 핵심광물을 사용한 전기차에만 혜택을 주기로 한 만큼 원부자재 공급난이 높아질 전망이다.
대전·충남 중소기업계 관계자는 “미중 무역분쟁은 중국 의존도가 높은 충청권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다. 대전·세종·충남북도 지자체들의 선제적인 대책 마련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정은한 기자 padeuk@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