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미만 퇴직자 중 81% 차지
임금·악성민원·근무환경 이유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공무원=평생직장’이란 공식이 옛말이 되고 있다. 적은 보수와 악성 민원에까지 시달리는 상황에서 경직된 조직 문화라는 삼중고에 직면한 공무원이 직장을 떠나면서다. 해마다 공무원 퇴사자는 늘고 있는데 특히 지난해 퇴사한 5년 이하의 젊고 유능한 공무원의 수가 1만 명을 넘었다.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25일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재직 기간 5년 미만 공무원 퇴직자는 지난해 1만 693명으로 이 중 MZ세대라 할 수 있는 20~30대는 81%나 됐다. 젊은 공무원의 퇴사가 늘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은 낮은 보수다. 올해 9급 공무원 1호봉 급여(기본급 기준)는 168만 원으로 최저임금(시간당 9160원) 191만 4440원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7급 공무원 1호봉(192만 원)이 돼야만 최저시급을 적용한 급여를 간신히 맞출 수 있다.

악성 민원 역시 공무원에게 큰 스트레스다. 행정안전부 통계에 따르면 민원 담당 공무원을 상대로 한 욕설과 폭언, 기물 파손 등 위법행위는 지난 2018년 1만 8525건에서 2020년 2만 6086건으로 3년 새 40.8% 급증했다. 대전 동구청에서는 지난해 11월부터 석 달여 동안 매일 한 시간 동안 전화해 폭언과 욕설을 일삼고 찾아와 난동까지 부린 50대로 인해 담당 공무원이 병원 치료를 받고 휴직까지 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경직된 근무환경도 젊은 공무원들에게 부담이다. 가정을 꾸린 공무원의 경우 근무환경이 우선순위는 아닐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개성이 강하고 주관이 뚜렷한 젊은 공무원에겐 평생직장 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다.

대전의 한 자치구 공무원 A 씨는 “공무원이란 직업은 알려진 것과 달리 단점이 많다. 가정을 꾸린 고참 공무원이라면 참고 일하겠지만 요즘 젊은 공무원은 절대 그렇지 않다”라고 말했다.

여러 고충을 겪고 직장을 떠나는 공무원이 늘자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는 최근 원격·자율근무 등 근무 형태를 유연화하고 연공서열 탈피를 골자로 하는 ‘공직문화 혁신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다만 공무원 임금에 대한 구체적인 방침은 정해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공무원 노동조합 등에서는 임금체계를 개선하는 게 젊은 인재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최선책이라고 말한다.

김성용 대전시 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은 “핵심은 임금이다. 만약 최저임금 수준에도 못 미치는 하위직 공무원의 부당한 임금체계를 바로잡지 않으면 젊은 공무원은 떠날 수밖에 없고 국가적으로도 큰 손실로 이어진다”라고 경고했다.

신성재 기자 ssjreturn1@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