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무역수지 악화되고 투자 빠져나갈 것”
지역민 “가계대출 부담 커져 당분간 소비 줄일 것”
자영업 “물가 못 잡고 경기침체 부작용만 커질라…”

미국의 기준금리 허리케인이 어느덧 3.25%까지 몸집을 키움에 따라 충청경제에 적신호가 켜졌다. 기대처럼 물가 상승세가 꺾이지 않는 와중에 기준금리 인상발 부작용만 지역을 휩쓸 것이라는 근심이 드리워져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1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함에 따라 미 기준금리는 3.00~3.25%까지 치솟았다. 이는 물가를 잡기 위한 선제적인 조치로, 올 연말에는 4%대까지 줄인상될 것이 유력하다. 이로써 원·달러 환율은 계속해서 오름세다. 물론 앞서 한국은행도 국내 기준금리를 지난달 2.50%까지 올려 환율 방어에 나섰으나 22일 원·달러 환율은 13년 6개월여 만에 처음으로 1400원을 돌파한 1413.50원을 기록했다.
원화 절하 부작용은 가히 컸다. 지난달 수출은 566억 7000만 달러(6.6%↑), 수입은 661억 5000만 달러(28.2%↑)로, 무역 적자만 94억 7000만 달러에 달한다. 즉, 원화 가치 하락으로 수출이 증가하기는 했으나 물건을 들여오는 값은 더 많아져 무역수지가 악화된 것이다. 충청권 역시 비슷한 타격을 받았다. 올해 상반기 대전은 수출액(25억 2600만 달러)이 2.9% 증가한 반면 수입액(22억 6100만 달러)은 31% 상승했다.
세종도 수출액(8억 5500만 달러)이 18.1% 늘어난 반면 수입액(8억 2400만 달러)은 20% 올랐고, 충남도 수출액(572억 5900만 달러)이 22.2% 증가한 사이 수입액(251억 600만 달러)은 49% 늘었다.
충남 중소기업계 관계자는 “제조기업들은 원자잿값 상승에 원화 가치 하락 여파로 갈수록 수입액 부담이 커지고 있다. 더구나 납품단가연동제가 법제화되지 않아 납품단가에 상승한 원자잿값을 반영받지 못하는 상황이라서 원·달러 환율 상승이 더욱 뼈아플 수밖에 없다”며 “심지어 미국의 기준금리발 긴축이 국내 투자자금까지 회수하고 있어 자금난에 봉착할 가능성까지 염려된다”고 우려했다.
늦어도 내년도 4%대 기준금리가 현실화되면서 충청권 내수도 위축될 기세다. 가계대출 잔액의 69.4%가 변동금리인 만큼 국내 기준금리 상승은 원리금 부담으로 이어져 지역민들의 소비 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난 6월 기준 대전·세종·충남지역 가계대출 잔액은 무려 74조 7051억 원에 달한다.
직장인 박 모(36·대전 유성구) 씨는 “정부가 지원하는 대환대출을 통해 원리금 부담을 최대한 낮추고 있으나 금리 인상 속도가 너무 빨라 씀씀이를 줄이는 것밖에는 방법이 없다”며 “물가도 너무 올라 앞으로 더욱더 절약해야 할 것 같다”고 하소연했다. 실제로 충청권 내수 위축에 따라 지난 7월 기준 제조업 재고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대전 17.6% 충남 20.5% 올랐다.
자영업계는 고물가 속 경기 침체인 스태그플레이션을 염려한다. 대전상권발전위원회 관계자는 “돈벌이는 나아지지 않았는데 대출 부담은 커지고 물가가 기이하게 오르다 보니 지역민들의 소비 분위기가 사라지고 있다”며 “기준금리만 오르고 물가는 못잡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당도할까 봐 겁이 난다”고 걱정했다.
정은한 기자 padeuk@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