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KAIST, 420억 투입 2026년 완료
의사과학자 양성, 창업생태계 확대

대전시와 KAIST는 17일 KAIST에서 혁신디지털의과학원 구축·운영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 국가바이오혁신을 이끌 융복합 의(사)과학자 양성과 혁신 창업 생태계 조성에 나서기로 했다.
의사(MD)이면서 기초의학과 생명과학을 연구하는 의사과학자(MD-PhD)는 지난 120년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의 52.2%를 차지하고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자도 대부분 의사과학자로 알려졌는데 우리나라엔 의사과학자 양성 기반이 부족하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미국 의과대학 졸업생 약 4만 5000명 중 3.7%(1700여 명)가 의사과학자로 육성되는 반면 우리나라에선 3000여 명 중 0.3~0.7% 수준으로 수급 불균형이 심각한 수준이다.
시는 2023년부터 4년간 국비 270억 원을 포함한 420억 원을 투입해 2026년까지 KAIST 문지캠퍼스에 연면적 1만㎡, 지하1∼지상 6층 규모로 혁신디지털의과학원을 건립하고 데이터 기반 융복합 헬스케어 개발센터와 AI정밀의료 플랫폼 연구센터, 디지털 의료바이오 공동장비 활용 및 연구실과 창업자 공유공간 등을 배치할 예정이다. KAIST는 이를 기반으로 현재 연평균 20명 수준인 의사과학자 배출 규모를 50명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글로벌 일류도시로 도약하려면 고도의 기술과 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석박사급 고급인력 양성을 통한 새로운 창업자 발굴과 혁신적 창업 허브 역할을 수행할 공간을 확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신성재 기자
신성재 기자
ssj@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