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물가 부담 커지자 지역민 발걸음 돌아와
“재료비·세제혜택 지원 늘려야 착한가격 유지”

▲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한 식당의 서민음식 가격이 1만 원으로 인상됐다. 정은한 기자

치솟는 식재료값 탓에 요식업계가 가격 인상에 나서면서 저물고 있던 ‘착한가격 식당’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물가안정을 위한 착한가격이 유지되려면 재료비와 세제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착한가격업소는 행정자치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정한 우수 물가안정 모범업소로 지난 2011년 도입됐다. 요식업, 이·미용업, 세탁업, 숙박업 등의 서비스 업종에서 지역 평균가격 이하의 품목이 있거나 1년 이내 가격을 인하한 품목이 있을 때 등을 기준으로 선정되며 종사자의 친절도, 영업장의 청결도 등도 반영된다. 대전시 내 착한가격업소는 2015년 320곳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6년 310곳, 2017년 293곳, 2018년 289곳, 2019년 280곳까지 매년 감소해왔다. 다만 올해는 355곳이다. 전년 대비 82곳(30%)이 늘었다. 

대전상권발전위원회 관계자는 “착한가격업소는 고물가 때 발길이 많아진다. 하지만 물가가 안정되면 가격 고려가 적어지면서 차츰 인기가 줄어드는데 최근 고물가로 손님이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착한가격업소는 주로 요식업에 집중된다. 지역민들이 외식값에 더 예민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전지역 신선식품지수는 108.54(2020년=100)포인트로 전년 동월 대비 8.7% 상승했다. 이에 따라 평균 외식비용보다 저렴한 착한가격 식당의 짜장면, 칼국수, 백반, 비빔밥, 국밥 등의 품목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영업사원 강 모(37·대전 유성구) 씨는 “요즘 물가가 너무 올라서 밥값이 부담된다. 도시락을 싸는 사람도 늘었지만 업무특성상 쉽지 않아 착한가격 식당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다만 구마다 착한가격 식당이 많지 않은 곳이 있어서 전체적으로 늘었으면 좋겠다”고 요청했다.

현재 대전은 착한가격 식당이 총 249곳으로 서구 86곳, 중구 57곳, 동구 40곳, 대덕구 36곳, 유성구 30곳 순으로 많다. 일부 지역에 위치한 착한가격 식당에서 온통대전을 사용할 경우 기존 5%에 추가 3%의 캐시백을 제공할 정도로 많은 혜택이 주어진다. 다만 착한가격 업소를 늘리려면 기존 혜택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요식업계의 중론이다. 지자체별로 음식물쓰레기배출스티커, 라텍스 장갑 등의 물품 지원에 그치고 있어서다. 

한국외식업중앙회 대전시지회 관계자는 “착한가격 식당은 고물가에는 각광받지만 물가가 안정되면 찾는 사람들이 줄어들어서 착한가격 유지가 쉽지 않다. 재료비와 세제 혜택 지원이 늘어나야 물가안정 시기든 고물가든 확대될 수 있다”며 “대전시의 계획대로 온통대전앱과 공공배달앱에 홍보해주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정은한 기자 padeuk@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