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의회 나서면 오해만 더 커진다" 해결 수수방관
"상황은 날로 악화…조속히 대책 마련" 여론 고조

황도의 주민 간 반목과 갈등은 최근 더욱 심화됐다고 한다.
최근엔 노인정을 이용하는 주민들 사이에도 패가 갈려 서로 눈치를 보고 있을 정도라고 혀를 찬다.
전임어촌계장 측과 개발위원회 측 간 패가 갈려 있기 때문.
“괜한 사람 죄인 만들었다”, 또 한 쪽에선 “투명하게 어촌계를 운영해야 한다”고 패가 갈렸다.

◆황도 갈등, 태안군, 태안군의회 소 닭 보듯
사정이 이런데도 태안군과 태안군의회 등 자치단체와 주민 대의기관은 소 닭 보듯, 비난받고 있다.
주민화합을 이룰 수 있도록 행정력 발휘에 앞장서야 한다는 여론이다.
그러나 태안군은 난감해 한다, 태안군의회는 ‘그런 일이?’ 하는 정도다.
주민 간 갈등현장에 군 행정력이 나서게 되면 오해가 오해를 낳을 수 있다고 손 사례를 친다.
문제는 주민 개개인 간 갈등이 아닌 주 소득원 바지락 채취 작업과 관련한 어촌계 운영을 놓고 다툼인 현장, 주민 갈등인 만큼 군의 행정력 투입은 마땅하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아직까지 군은 관망자의 자세를, 태안군의회는 관심조차 없다.
따라서 군과 의회가 앞장서 주민 간 화합할 해법을 찾는데 앞장서야 한다.

◆황도의 현주소와 꼬여만 가는 황도 어촌계
태안군 안면읍 섬 속의 섬 황도는 160가구 320명의 주민이 분포하는 전형적인 어촌의 마을이다.
주 소득원은 바지락.
바지락 작업은 어촌계원들로 전체 주민 중 35%인 115명으로 구성돼 있다.
주민 절반 이상은 65세 이상의 고령화에다 문맹률도 높다고 한다. 주민들의 성향도 순박한 게 특징.
개발위원들로 구성된 청장년층, 이른바 신식교육을 받은 주민들은 전체주민 중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 때문에 황도는 나이 많은 주민들만 잘 관리 하면 어촌계장 자리는 보장받는다고 입을 모은다.
어촌계장의 눈에 날 경우엔 좋을 게 없다. 수협 위탁판매 물량 외 ‘오버키로’ 등 어민 개개인의 수입과 마을의 공동기금, 적립금이 되는 일일작업 지시에서 예외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싫어도 좋은 척, 황도 어촌계장은 바지락 채취 현장에선 절대 권력자의 지위를 유지하게 된다는 게 개발위원 측 계원들의 주장이다. 반대 측 주민들은 그렇지 않다, 일방적인 주장일 뿐이라고 일축한다.

그러나 개발위원회 측은 올해의 ‘오버키로’ 작업 물량과 관련한 의혹이 심각하다.
올해와 이전 해의 오버키로 작업물량의 차이가 심하기 때문이다.
올해만 마을 공동기금은 벌써 4300만 원에 달한다는 것이다. 이전엔 이만한 규모의 금액이 적립된 예가 없었다며 이전에도 마을공동기금으로 적립될 수 있었던 상당한 규모의 돈의 행방에 대해 의구심을 보내고 있다.
특히 올해엔 어촌계 운영의 부실운영과 관련, 진정사건 이후부터 ‘오버키로’ 및 수협 위탁판매 작업 후엔 과거와 달리 제때에 수익금 배분 등이 있었지만 이전엔 ‘멋대로’ 였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이전엔 조건성립이 안 된 상황 이었을까? 안 그랬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점에 대한 사법당국의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화합의 길은 없나
의혹은 의혹만 불러온다고 한다.
따라서 태안군과 의회가 황도의 화합을 위해 특단의 대책을 만드는데 앞장서면 해법은 얼마든지 있어 보인다.
해법제시도 가능해 보인다.
이를 테면 양측의 주민들을 한자리에서 어촌계 운영의 기본과 원칙만 설명해도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으론 어촌계장의 선출 과정과 임명장을 시장, 군수, 자치단체장이 줄 수 있도록 법령이 바뀌었다.
이를 계기로 군과 의회가 황도 갈등 해소를 위한 해법을 찾아내는 계기 마련에 앞장서주길 기대한다.
<끝>

태안=이수홍 기자shong6500@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