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주도 미래우주기술 확보 등
지역 경쟁력 제고해 산업 육성

<속보>=대전시가 맞춤형 전략으로 지역 우주산업을 견인한다. 민간주도로 우주산업을 육성하는 것과 동시에 지역 산·학·연·관의 공고한 관계로 우주전문인력을 양성한다는 복안이다. <본보 4일자 7면 등 보도>
대전시는 24일 대전테크노파크에서 우주산업 육성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하고 맞춤형 전략을 도출했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 6월부터 지역 맞춤형 우주산업 육성 해법을 찾기 위해 용역을 진행하는 한편 산·학·연·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이번 최종보고회에서는 용역 수행사(트리마란)의 뉴스페이스 전환기 국내·외 우주산업 현황, 기업 수요조사를 포함한 대전 우주산업 여건, 우주산업 클러스터 사업과 연계한 우주산업 육성 기본계획(안) 등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용역에 따른 지역 우주산업 역량에 대한 조사 결과 대전은 항우연 등 14개 연구기관, 카이스트 등 3개의 대학, 쎄트렉아이 등 69개 기업 등 86개 우주관련 기업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주산업 육성 기본계획을 위한 맞춤형 전략으로는 민간주도 미래우주기술확보, 산·학·연 연계 우주전문인력 양성, 우주기업 역량 강화 지원, 우주산업 클러스터 첨단 우주센터 등 우주산업 인프라 확충, 우주산업 성장기반 조성 등이 제시됐다.
용역결과에 대해 지역 우주 전문가들은 지역의 강점인 연구·인재 개발에 초점을 맞춤 산업 육성 전략을 잘 담아냈다고 평가했다. 시는 이번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과 국가에 기여할 수 있는 우주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며, 지속적으로 전문가와 소통해 내실있는 우주산업 육성방향이 정립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이석봉 경제과학부시장은 “이번 용역을 통해 도출된 내용들을 활용해 산·학·연·관 풍부한 인프라를 갖춘 대전의 국가 우주산업 경젱력을 제고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성재 기자 ssjreturn1@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