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에 경기침체될까 대책 마련 분주
대책반 세우며 물동량 사수 등 지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24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간 가운데 충청권 지자체들도 행정력을 총동원하고 나섰다. 가뜩이나 지역경제가 불안한 가운데 발생한 파업인 만큼 다양한 대책을 세워 지역 산업계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화물연대는 이날 대전 대덕우체국 네거리에서 조합원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파업 선포식을 거행했다. 충남 현대제철 당진공장 정문 앞에서도 조합원 2400여 명이 운집한 가운데 총파업 출정식이 열렸다. 이들은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를 규탄하는 한편 제도의 적용 업종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다.

화물연대 노조원들은 생존권 보장을 위해 이번 파업을 열었다며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지역 경제 활성화를 지원하고 각종 정책을 수립하는 지자체 입장에서는 상당히 당혹스럽다는 반응이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지역 경기가 침체된 데다 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임대료조차 내지 못한 채 줄폐업하는 마당에서 화물연대의 파업은 말그대로 ‘엎친 데 덮친격’이라는 입장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아무래도 화물 수송 등이 지연될 수 있어 파업이 장기화된다면 지역 산업계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대전시와 충남도는 파업에 따른 산업계의 피해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책을 마련해 이를 시행하는 중이다. 대전시는 파업에 대비해 일선 자치구에서 자가용 화물차 유상운송 허가를 지원하는 한편 운송을 방해하기 위한 물류거점시설 내 주·정차 밤샘주차 행위 등을 단속하기로 했다. 자가용 화물차 유상운송 허가는 최대적재량 8t 이상의 일반형 화물자동차와 견인형 특수자동차를 대상으로 자치구에 신청해 허가증을 교부받을 수 있으며 7일간 임시허가가 부여된다.

충남도의 경우 서산, 당진, 아산 등 등 지역 주요 산업단지의 물동량에 대해 주시하는 한편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우선 도는 15개 시·군이 자가용 유상운송 허가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자가용 화물차 중 8t 이상의 일반형 화물자동차(카고 트럭)와 견인형 특수자동차(트랙터)를 보유한 차주나 운송업체는 시·군의 허가를 받으면 24일부터 영업행위를 할 수 있다. 대상 차량은 도내에 2500여대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운송 허가는 파업 상황에 따라 일주일 단위로 연장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운송 차질이 장기화할 경우 군부대에 컨테이너 차량 등 장비 지원을 건의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신성재 기자 ssjreturn1@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