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한파, LNG 가격 상승이 난방비 부담 견인
“연초부터 에너지비용 부담늘어 허탈하다” 아우성

#. 회사원 김 모(36·대전 유성구) 씨는 최근 가스요금 고지서를 받은 뒤 당황스러웠다고 말한다. 통상 겨울철 4만~5만 원 수준이던 난방비가 12만 원까지 치솟았기 때문이다. 최근 강추위로 인해 난방 사용을 늘린 게 사실이지만 급격한 난방비 상승을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인다. 그는 “예년보다 난방을 조금 더 가동한 것은 맞지만 이 정도로 가격이 뛸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연초 돈 들어갈 데 많은 상황에서 난방비가 오르니 짜증이 난다”고 하소연했다.
최근 겨울철 난방 수요가 증가하고 러-우크라이나 전쟁 영향으로 국제 LNG 가격이 상승한 데 따라 난방비 고지서를 받은 뒤 놀라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경기회복 대신 가스비 인상 리스크가 등장하면서 사회 곳곳에서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이번 난방비 대란은 도시가스요금에 연동되는 LNG 수입가격이 폭등한 게 난방비 급등의 결정적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2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쟁으로 에너지 수급난이 지속되면서 국제 LNG 가격은 지난달 T당 1255달러로 2021년 12월보다 40% 껑충 뛰었다. 이로 인해 지난해 3대 에너지원(원유·가스·석탄) 수입액은 1908억 달러(236조 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 1년간 도시가스와 열 요금은 각각 38.4%, 37.8% 올랐다. 지역난방 가구에 부과되는 열요금은 집단에너지 사업자가 도시가스 요금에 연동해 조정한다. 산업부는 1분기엔 겨울철 난방비 부담을 고려해 동결했지만 가스공사는 지난해 말 기준 미수금 9조 원을 올해 안에 전액 회수하기 위해서는 오는 4월부터 MJ(메가줄)당 39원을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만큼 가스비 추가상승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고금리 고물가 상황 속 경기회복은커녕 경기 침체 요소가 등장한 셈인 만큼 지역사회 각계에서 우려의 목소리를 내놓고 있다.
대전상권발전위원회 관계자는 “잡히지 않는 물가와 높은 금리로 자영업자의 경영난이 심화되는 것은 물론 소비자들의 지갑이 도통 열리지 않아 문제인 상황이다. LNG가격이 오르고 프로판 가스 가격도 덩달아 올랐다. 겨울 난방과 조리 등에 사용되는 가스량이 적잖은데 가스비가 계속오르면 자영업자들이 버티길 어려울 것이다. 더욱이 소비침체도 다시 심화될 것 같아 걱정”이라고 말했다.
최근 원자잿값 상승으로 원가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중소기업들도 한숨을 내쉬고 있다.
대전 대덕구 한 제조업체 대표는 “전반적인 가스비 상승은 중소기업의 원가부담 요소로 작용한다. 가스비와 함께 높은 전기료에따른 공장가동 비용도 만만치 않다. 정부는 정쟁 대신 공공에너지요금 인상에 대한 지원대책을 마련해달라”고 호소했다.
박정환 기자 pjh@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