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이어 우체국 노조도 파업 움직임
지역경제계 “물가 상승에 물류피해 확대 두렵다”

지난해에 이어 택배업계에 파업 바람이 휘몰아치는 분위기다. 앞선 CJ대한통운 택배노조 부분파업에 더해 우체국 노조도 파업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아직 택배 대란이 발생하지는 않고 있으나 지역경제계는 추후 연쇄적인 택배업계 파업이 발생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는 모양새다.
전국택배노동조합 우체국본부는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우체국 앞에서 ‘물가 폭등에 임금삭감 시도하는 우본 규탄 및 교섭 결렬 선언 회견’을 열었다. 노조에 따르면 노동조합과 우정사업본부, 우체국물류지원단은 단체교섭 만료일을 앞두고 지난해 11월 초부터 12차례에 걸쳐 단체교섭을 진행했다. 하지만 우체국이 교섭 과정에서 ▲최저임금이라 할 수 있는 기준물량 축소 ▲위탁 배달원(택배기사)에 대한 초소형 소포 배정 제외 ▲이를 위한 배달구역 조정 ▲위탁 수수료 대폭 삭감 등을 포함안 교섭안을 제시하면서 교섭이 결렬됐다.
노조는 “사측 안에 따르면 평균 임금 삭감액은 월 130만 원에 달한다. 노조와 택배 노동자들이 도저히 받을 수 없는 상식 밖의 안을 고집해 협상을 파국으로 내몰았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향후 조정신청을 시작으로 쟁의권 확보 절차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직 정확한 파업·쟁의 시점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앞서 지난 1월 26일부터 CJ대한통운 노조가 부분파업에 돌입한 상태라는 것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현재 택배노조가 파업에 돌입한 지 5일째지만, 아직까지 배송지연이나 택배대란 등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 파업에 참여하는 인원이 전체 택배기사의 7~8% 수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파업이 기한이 정해지지 않은 무기한 파업이어서 파업이 총파업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노조 측은 CJ대한통운이 대화와 협상을 거부할 경우 투쟁 강도를 점차 높여 가겠다는 계획이다. 우체국 노조마저 파업에 들어가고, 추가적으로 택배업계 파업 릴레이가 현실화될 경우 자영업자와 중소기업계의 물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전 동구 한 상점가 관계자는 “고물가에 소비침체가 가중되는 데다가 채소 등 식재료 값이 너무 올라 장사하기가 힘들다.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택배업계 파업이 확산된다면 물류경색과 비용상승으로 인해 자영업자들의 고통이 커지게 될 것이다. 모두가 힘든 시기인 만큼 특정 집단의 이익을 위한 파업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원가부담이 심화되고 택배 등 소규모 물류를 통해 제품을 출하하는 중소업체들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대전의 한 기업단체 관계자는 “중소기업 특성상 대규모 출하보다는 택배를 이용하는 곳이 적잖다. 연초부터 택배비가 올라 물류비용이 늘어났는데 연쇄적인 파업이 발생할까 우려된다. 파업시 대체 택배사를 고르는 것도 일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정환 기자 pjh@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