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비롯한 일부지역 봄 맞아 청약시장 회복세
“첫 분양단지 결과에 모두 주목할 것”

봄을 맞아 청약시장 회복세가 서울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 감지되고 있지만 대전과 세종은 한파가 유지되고 있는 모양새다. 만개하고 있는 벚꽃처럼 전국에선 올 최대물량의 분양물량이 쏟아졌지만 대전과 세종에선 4월 분양 계획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4월에는 전국 42개 단지 3만 7457가구가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3월 예정물량의 일부가 4월로 연기된 데다, 봄 성수기로 분양이 몰린 영향이다. 지난 24일 조사 기준, 4월 분양 예정 물량은 지난달 16일 조사 때보다 1.5배(2만 5495→3만 7457가구) 늘었다.
권역별로 수도권이 1만 256가구(1만 4400→2만 4656가구), 지방은 1706가구(1만 195→1만 2801가구) 늘었다.
시도별 4월 분양 예정 물량은 ▲경기 1만 7832가구 ▲인천 3541가구 ▲서울 3283가구 ▲강원 2723가구 ▲충남 2208가구 순이다.
특별공급 및 추첨제 확대, 대출 완화 등으로 청약 문턱이 낮아진 서울에서는 휘경자이디센시아, 서대문센트럴아이파크 등 재개발 사업지들이 공급에 나선다.
반면 미분양 리스크가 커진 대전과 세종에서는 내달 중 분양계획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충청권에선 충남이 2208가구로 가장 많았으며 충북이 2076세대 예정됐다.
전문가들은 청약 규제 완화 이후 분양시장에 수요가 유입되는 분위기로 관측하고 있다. 특히 중도금 대출한도(12억 원) 폐지에 이어, 4월 규제지역 내 전용 85㎡ 이하 아파트에 대한 추첨제 확대로 서울 청약시장 호조세가 예상된다.
다만 금리 부담과 집값 추가 하락 가능성이 여전한 만큼 시세보다 높은 가격으로 분양되는 단지에는 관심이 덜할 것으로 보인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가격 방어가 가능하거나 미래가치가 기대되는 지역 위주로 수요 쏠림이 나타나면서 서울, 부산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청약 온기가 전국으로 확산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미분양 리스크가 큰 지방을 중심으로 분양을 연기하는 사업지들이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지역 부동산 업계에서는 청약 시장이 온기를 찾으려면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보고있다.
대전 둔산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대전은 현재 부동산 시장 자체가 얼어붙어 있다고 보면 된다”며 “새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는 아직도 강하지만 금리나 여러 조건들로 인해 실거주자들은 저점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올해 첫 분양단지에 대한 결과에 많은 관심이 모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서지원 기자 jiwon401@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