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발 해킹 점검도 거부도” vs “자녀 채용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고위직의 자녀 특혜 채용 의혹과 관련해 여야가 국회 국정조사를 열자는데 의견 일치를 봤지만 조사 범위를 놓고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여야는 지난주 국정조사 기간과 범위 등을 놓고 협의를 벌였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실무협의 과정에서 입장차를 드러낸 것이다. 이후 5일 국조 관련 협의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국민의힘은 자녀 특혜 채용 의혹에 앞서 논란이 된 ‘북한발 선관위 해킹 시도’에 대한 국가정보원 보안 점검 거부에 대해서도 국조에서 들여다봐야 한다는 주장을 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민주당은 이번 국정조사는 자녀 특혜 채용 의혹에 집중돼야 한다는 입장으로 양측이 신경전을 펼쳤다.

민주당은 국민의힘이 채용 의혹이 아닌 다른 부분으로 범위를 넓히려는 배경을 의심하고 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선관위 길들이기 의도'가 깔려있다고 민주당은 의심하고 있다.

국민의힘이 이번 의혹을 계기로 노태악 선관위원장 사퇴를 촉구하고 있는 점도 민주당이 선뜻 해킹 의혹까지 국조 범위를 넓히자는 요구를 수용할 수 없는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양측간 입장차가 드러난 가운데, 민주당이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와 관련해 국회 검증특위 설치와 상임위별 청문회 개최 방안을 요구하는 ‘딜’을 시도할 것이라는 전망도 정치권 일각에서 나온다.

국조 범위에 대한 입장차만 해소하면 국조 착수까지 이후 과정은 순탄하게 흘러갈 걸로 전망된다. 이르면 12일 국회 본회의에서 선관위를 대상으로 한 국조 계획안이 의결될 수도 있다.

서울=강성대 기자 kstars@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