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 내포시로 이전해오는 충남도청이 홍성군 홍북면 도로명주소를 갖게 된데 대해 세간에서는 ‘만족스럽다’, ‘서운하다’는 등의 엇갈린 반응들이 표출되고 있으나 이는 한마디로 지역 간 갈등을 부추기는 소모적 논쟁에 지나지 않는다.
내포시로의 도청이전이 확정됐을 때 청사부지 위치선정 문제를 놓고 당시 이완구 지사와 ‘예산-홍성’ 군민들 사이에 첨예한 대립 양상을 띤 적도 있었으나 내포시가 자족도시로 승격되는 것을 전제로 하면 사실상 도청이 어느 쪽에 위치하든지, 도로명주소가 어느 행정구역에 속하든 큰 문제가 될 것은 없다.
이 전 지사가 양 군민들의 갈등을 봉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청만큼은 ‘예산-홍성군’의 한 가운데로 정하겠다고 했었으나, 도시공학적 측면에서 볼 때 내포시가 건설되는 행정구역이 예산군(37%)과 홍성군(67%)로 분포돼 있는데다 도청 청사부지도 4대 6인 점을 감안하면 도로명주소를 놓고 그리 호들갑 떨 일은 아니다.
문제는 이를 갖고 정치권에 있는 지도층인사들이 양 군민들의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는 것이다.
가뜩이나 ‘예산-홍성’ 간 행정구역 통합을 갈망하고 있는 홍성 출신의 모 도의원이 “홍성에 있는 도 청사건물이 홍성의 주소로 결정된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만족해하는 모습이나 “도의회만 예산의 주소로 결정된 것은 상당히 아쉬운 사항”이라며 소외감 운운하는 예산출신의 모 도의원의 발언도 통합을 전제로 하는 양 군의 화합무드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그들이 정작 걱정해주어야 할 것은 도청 등의 도내 유관들의 이전이 불과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으면서도 양 군에 속해 있는 행정구역의 효율적 관리문제에 심혈을 기울여 주민들의 불편해소에 치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찔끔찔끔 내려주는 중앙정부의 도 청사 신축공사비 때문에 예정대로 도청이 이전해올 수 있을지 불안한 마당에 ‘강 건너 불구경’ 하듯 도청 도로명주소나 논하는 한심한 작태는 지양해야 한다.
정작 지역주민들이 바라는 것은 도로명주소가 어느 행정구역에 속하는 것보다 이전공무원들이 외지에서 출퇴근하지 않고 내포시에 가족과 함께 이주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일조하는 것이다.
예산=이회윤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