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민동 헤어마스터 김복순 씨 이야기

▲ 헤어마스터 김복순 씨

매장 인테리어로 고민하던 김 씨
자영업닥터제 만나 새롭게 출발
어깨수술로 문 못 열었던 7개월
"이렇게 예쁜 가게 왜 안 열어요?"
고객들 원성 아닌 원성도 빗발

국내외서 미용봉사 하는 김 씨
그의 선한 영향력은 더 커져간다

 

손님들이 세련됐다는 반응을 받을 수 있는 가게는 보통 두 가지로 나뉜다. 의도적으로 빈티지함을 추구하거나, 깔끔한 모던함을 드러내거나 둘 중 하나다. 전민동에 위치한 헤어마스터는 후자에 가깝다. 그러나 10주년을 앞둔 가게다. 의도치 않게 빈티지함으로 흘러갈 수 있지만 김복순 씨의 헤어마스터는 그렇지 않다. 자영업닥터 손길로 새롭게 태어났기 때문이다.

◆경력만 40년, 100평 사장

김 씨의 경력은 자그마치 40년이다. 남들이 살아온 인생만큼이나 머리를 만져왔단 얘기다. 한때는 여성잡지에 실린 적도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한 때 용호동에서는 100평짜리 가게를 운영했다. 네일아트와 메이크업을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말이다. 그야말로 당대 제일 잘 나가던 매장의 주인인 셈이었다. 은행동에서도 7~8년 동안 터줏대감 역할을 하면서 이름을 알리기도 했지만 시대의 흐름을 피할 순 없었다.

“100평짜리 가게를 운영하다가 60평짜리로 옮기기도 했죠. 용호동에서는 네일아트랑 메이크업을 한 군데에서 할 수 있게끔 시도를 했는데 원래 미용실 자리가 아니라 돈을 많이 까먹기도 했죠. 예전에는 약혼식이나 상견례까지도 커버가 가능했는데 요즘은 식장에서도 해주니깐 잘 안 되죠.”

◆자영업닥터제로 새 출발

몸도 마음도 잘 따라주지 않았다. 이제는 돈을 벌기보다는 사람과의 소통을 이어나가고 싶은 김 씨였다. 그렇게 해서 들어온 곳이 전민동 한 아파트 상가 2층에 위치한 헤어마스터다. 은행동의 수많은 손님과 용호동의 엄청난 규모보다는 나름의 퀄리티를 찾는 손님들도 많아 만족스럽단다. 다만 걸리는 것이 있었다. 바로 인테리어.

10년이 다 돼가는 매장인 만큼 다른 사람의 손을 거친 매장 분위기가 김 씨는 썩 맘에 들지 않았다. 나무내음 가득한 벽지와 핑크빛이 도는 외부 선팅은 그에게 아쉬울 따름이었다. 이전에도 인테리어 공사를 진행했지만 자본과 시간 등 여러 문제들로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그러던 와중 마주한 것이 자영업닥터제였다.

“원래는 벽도 갈색, 나무같은 느낌이었는데 자영업닥터제를 신청하고 선정돼서 인테리어를 바꿀 수 있었습니다. 제 건물이라면 아예 처음부터 갈아 엎을텐데 그게 아니라 제한적인 부분들이 많았죠. 어쨌든 인테리어가 아쉬운 대로 몇 년을 운영하다가 자영업닥터제 대상으로 선정돼 기분이 좋습니다.”

뷰티업계 40년 종사자의 감각은 무시할 수 없었다. 자영업닥터제의 도움으로 살아난 매장은 처음 문을 열면 ‘새로 개업한 매장인가?’하는 착각마저 들게 한다. 깔끔한 화이트 톤에 포인트로 들어간 블루컬러까지. 젊은 사장님이 운영하는 미용실처럼 말이다. 손님들도 마찬가지다. 김 씨는 최근 어깨수술로 7개월 동안 매장을 열지 못했는데 왜 이렇게 예쁜 매장을 안 열었느냐는 반응이 대다수란다.

“반응이 아주 좋죠. 자영업닥터제 관계자 분들도 정말 신경을 많이 써주셔서 훨씬 깔끔해졌어요. 수술로 쉬는 동안 문을 안 열었는데 ‘인테리어를 이렇게 해놓고 왜 가게를 안 열어요’ 하는 원성(?)이 빗발치기도 했죠. 지금은 괜찮아져서 8월부터 다시 일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을 버티는 원동력

예나 지금이나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싶은 것이 김 씨다. 교회를 통해 동네 어르신을 대상으로 미용봉사는 물론 최근에는 네팔과 캄보디아에 이어 필리핀까지 다녀왔다. 이마저도 미용봉사를 위해서라는 얘기다. 경기가 언제 좋았겠냐마는 많은 이들을 위해 자신의 재능을 아낌없이 기부해서라도 좋은 날을 기대하는 김 씨다. 자영업닥터제도 비슷한 맥락이다. 자신과 같은 자영업자들이 자영업닥터제를 통해 오늘을 버틸 수 있는 원동력으로 삼았으면 하는 바람이라는 거다.

“아는 사장님한테도 자영업닥터제를 알려주기도 했습니다. 저희들이 경기도 안 좋고 힘들 때에 많은 사람들이 신청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손님들도 후줄근한 것보다는 쾌적한 걸 좋아하니까요. 물론 원장의 기술력이 얼마나 좋느냐가 중요하지만 예산을 포괄적으로 높이고 홍보도 자주해 전체적으로 자영업닥터제가 활성화됐으면 합니다. ”

이재영 기자 now@ggilbo.com

대전시의 자영업닥터제

코로나19 장기화와 고물가·고금리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의 매출 회복과 성공적 자립을 지원하는 대전시의 사업이다. 소상공인에게 맞춤형 컨설팅과 경영교육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일정의 시설개선비도 지원한다. 소상공인 성장자금 융자 혜택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소상공인과 예비창업자가 혁신 자영업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